|
2015년 5월 4일/11일
국내 PO(Propylene Oxide) 시장은 SKC가 독점하고 있는 가운데 S-Oil이 신규진출을 발표함으로써 공급과잉 전환이 우려된다.
SKC는 2017년 30만톤을 증설할 계획이고, S-Oil은 투자규모를 확정하지 않았으나 2018년 RFCC(Residue Fluid Catalyst Cracker) 60만-70만톤 증설을 가정했을 때 PO 30만톤 플랜트 건설이 유력시되고 있다. 국내 PO 수요는 2014년 51만톤으로 SKC와 S-Oil의 증설이 완료되면 생산능력이 90만톤으로 급증해 다운스트림 폴리올(Polyol)을 함께 증설하더라도 공급과잉 전환이 불가피해지고 있다. SKC와 S-Oil이 신증설 공법을 확정하지 않았으나 경제성을 고려할 때 HPPO(Hydrogen Peroxide-to-PO) 프로세스가 가장 유력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PO 제조공법은 염소공법, PO/SM(Styrene Monomer), PO/MTBE(Methyl tert-Butyl Ether), POC(Propylene Oxide Cumene), HPPO 5가지가 있다. 염소공법은 세계적으로 환경오염 논란이 거세 신규기업이 섣불리 채용하기 힘들고 PO/SM, PO/MTBE, POC 공법은 사업성이 좋지 않은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SKC와 S-Oil이 HPPO 공법을 채용하면 과산화수소 증설을 동시에 진행할 것으로 예상된다. 표, 그래프: <국내 PO 수입동향><국내 PPG 수입동향><국내 PO 시장동향><아시아 PO 신증설 프로젝트><아시아의 PO 공급과잉 전망> |
한줄의견
관련뉴스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화학경영] 코오롱ENP, 고부가 POM으로 수익 개선 | 2025-11-10 | ||
| [EP/컴파운딩] POM, 의료용 중심 고부가화한다! | 2025-10-01 | ||
| [에너지정책] 코오롱I, 동박적층판용 mPPO 공급 | 2025-06-27 |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EP/컴파운딩] POM, 중국 반덤핑 효과도 “별로” 코오롱ENP 기대 무너졌다! | 2025-11-07 | ||
| [EP/컴파운딩] 코오롱, POM 중국 수출 기대한다! | 2025-08-22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