합성수지, 3D프린터용 수요 기대
|
Stratasys, 대형기기 양산화 추진 … 소형기기는 MakerBot 확대 화학뉴스 2015.06.24
Stratasys Japan이 3D 프린터의 전개를 강화하고 있다.
대형 프린터는 PI(Polyimide)계 수지 등 고강도 수지 대응기기를 부품·지그 제조용으로 제안하고 2015년 위탁 제조기업과의 협력체제를 구축해 양산화를 추진하며 금형 제작용으로도 고정밀기기를 전개해 시간 단축과 비용 절감을 추진할 예정이다. 소형기기는 철, 목재 등의 질감을 보유하고 있는 신규 필라멘트를 다수 투입해 해외에서 전개하고 있는 웹 서비스 등의 보급과 함께 시장 전체를 확대할 방침이다. Stratasys Japan은 3D 프린터 글로벌 메이저 미국 Stratasys의 일본법인으로 최근 3D 프린터를 통한 실용제품 제조 Digital Direct Manufacturing(DDM)을 제창하고 테스트에서 제조까지 3D 프린터의 일관체제를 제안하며 초기 투자비용, 소수제품의 시간 단축 및 관리비용 절감 등으로 시장 개척을 추진하고 있다. 사업 전개의 일환으로 대형기기는 부품·지그 용도로써 열용융적층(FDM)기기를 전개할 예정이다. 2015년 다수의 협력기업과 함께 최대 1만개 가량의 양산화를 실현하고, 3D 프린터의 데이터만으로 동일제품을 제조할 수 있는 특성을 활용해 재고관리 비용 절감 등도 모색한다. 고정밀 잉크젯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PP(Polypropylene), PC(Polycarbonate) 등 금형을 대상으로 100샷 정도의 소량제조 및 금속형 테스트 성형 등에 제안하고 종이 등 유연물 가공용에도 제안할 예정이다. 소형기는 MakerBot 시리즈용 필라멘트를 확대하고 2015년 말 컴포넌트 필라멘트로써 목재, 브론즈, 철, 석고 등에 가까운 질감을 살릴 수 있는 프린트를 전개해 테스트 및 교육에서 활용함으로써 개인이 제작할 수 있는 폭을 확대할 계획이다. Stratasys Japan에 따르면, 소형기는 처음 한 대에서 시작해 점차 늘려가는 추세가 확대되고 있다. Stratasys는 9월 소형기를 담당하는 자회사 해외에서 전개하는 기술자용 도면 커뮤니티 사이트를 소개하는 등 편리성 높은 서비스도 제공할 방침이다. |
한줄의견
관련뉴스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폴리머] 합성수지, 컴파운드 일원화한다! | 2025-10-13 | ||
| [전자소재] UV레진, 3D프린터용 시장 급성장 | 2025-02-05 | ||
| [화학경영] 금호석유화학, 합성수지 침체 심각 | 2025-02-04 | ||
| [폴리머] 합성수지, 수입 규제에서 제외했다! | 2024-04-29 |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폴리머] 합성수지, 중국 수출이 수입 앞섰다! | 2025-04-25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