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활용 … 잔여물 없어 전하흐름 유지
화학뉴스 2015.08.25
국내 연구진이 세계 최초로 물을 이용한 친환경 유기반도체 제조 기술을 개발했다.
미래창조과학부는 정대성 중앙대 교수와 김윤희 경상대 교수가 미래부가 지원하는 기초연구사업 및 원천기술개발사업을 통해 유기반도체 제조기술을 개발했다고 8월23일 발표했다. 유기반도체는 실리콘반도체보다 가볍고 유연할 뿐만 아니라 적은 비용으로 제작 가능해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와 같은 디스플레이기기에 주로 활용되고 있다. 정대성 교수는 유기반도체 성형에 사용되는 기존 유기용매의 부식성과 유해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물과 같은 친환경 용매를 활용하는 연구를 진행해 왔으며, 계면활성제를 활용해 유기반도체를 물에 녹일 수 있었으나 이온성 계면활성제가 반도체 박막 형성 뒤에도 일부 남아 나노입자의 전하이동을 방해해 반도체 역할을 수행할 수 없다는 점이 과제였던 것으로 알려졌다. 연구진은 비(非)이온성 계면활성제를 개발해 유기반도체 박막이 쉽게 형성되면서도 남은 계면활성제가 쉽게 제거돼 전하의 흐름이 유지될 수 있도록 했다. 정대성 교수는 “계면활성제는 일종의 비누라고 생각하면 되는데 기존의 이온성 계면활성제는 박막 성형 공정 후에도 그대로 남아 전기적 성능이 나올 수가 없었다”며 “계면활성제의 화학구조를 정밀하게 제어해 공정 후 에틸알코올로 처리하면 남은 계면활성제를 쉽게 제거할 수 있게 했다”고 밝혔다. 신규 유기반도체 박막을 구동한 결과 유기용매로 만든 유기반도체는 물론 실리콘 등 무기반도체와도 비슷한 수준의 높은 전하 이동도를 나타낸 것으로 알려졌다. 정대성 교수는 “신기술은 국내 핵심산업 가운데 하나인 디스플레이와 각종 이미지 센서 등의 제조에 접목될 수 있어 앞으로 크게 각광받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화학저널 2015/08/25>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에너지정책] 동성케미컬, 유기과산화물 증설 완료 | 2025-09-30 | ||
[석유화학] 에틸렌, 미국 저가 물량 들어온다! | 2025-09-23 | ||
[석유화학] ABS, 중국산 물량 동남아로 간다! | 2025-09-23 | ||
[석유화학] LDPE, 중국 부진과 저가 물량에… | 2025-09-22 | ||
[배터리] SK온, 황화물계 전고체전지 개발 | 2025-09-16 |
수탁사 | 수탁 업무 및 목적 | 보유 및 이용기간 |
---|---|---|
미래 이포스트 | 상품 배송 | 서비스 목적 달성시 또는 관계법령에 따른 보존기한까지 |
LG U+ | 구독 신청에 필요한 신용카드, 현금결제 등의 결제 대행 | |
홈페이지코리아 | 전산시스템 운영 및 유지보수 |
수집하는 개인정보 항목 |
성명, 회사명, 부서, 직위, 전화번호, 핸드폰번호, 팩스, 이메일, 홈페이지주소 자동수집항목 : 서비스 이용기록, 접속 로그, 쿠키, 접속 IP 정보 |
---|---|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 |
켐로커스는 수집한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활용합니다. (1) 성명, 회사명 - 회원제 서비스 이용에 따른 회원식별, 불량 회원의 부정 이용 방지를 위함 (2) 부서명/직위 : 회원의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 및 마케팅에 활용 (3) 이메일, 홈페이지 주소, 팩스, 전화번호, 휴대폰번호 - 서비스 이용 후 계약이행에 대한 내용 제공, 결제 진행사항 통보, 영수증 및 청구서 송부, 불만처리 등을 위함 |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기간 |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이 달성된 후 지체없이 파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