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통상자원부가 전기자동차(EV) 인프라 구축에 집중할 방침이다.
2017년 10월19일 화학경제연구원(원장 박종우)이 주최한 「자동차 부품 및 경량화 소재 기술 컨퍼런스」에서 산업통상자원부 임채욱 서기관은 「미래형 자동차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정책 방향」 발표를 통해 “전기자동차, 수소자동차 등 미래형 자동차가 성장할 것으로 예상하고 다양
한 정책을 시행할 방침이며, 특히 인프라 구축을 통해 보급량을 끌어올릴 예정”이라고 밝혔다.
산업부는 주행거리, 인센티브, 충전 인프라의 3대 걸림돌을 해소해 미래형 자동차 보급을 확대할 계획이다.
전기자동차는 2016년 기준 누적 1만2000만대를 보급했으며 2022년까지 35만대를 목표로 하고 있다.
전기자동차 인프라 투자는 한국전력이 아파트 단지에 공용급․완속 충전기를 무료로 설치하며, 모든 고속도로 휴게소, 대형마트, 기차역 등 주요 생활시설 등에도 충전기를 구축할 계획이다.
인센티브는 개별소비세 200만원, 취득세 200만원 한도로 감면하고 국비 보조금 1400만원, 지방자치단체 보조금 300만-1200만원을 지원한다. 공공기관 의무구매 비중도 25% 수준에서 40% 이상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다만, 수소자동차는 전기자동차에 비해 시장 형성이 더딘 것으로 판단하고 전기자동차 시장에 집중할 계획이다.
임채석 서기관은 "수소자동차는 시장형성이 미흡한 수준이어서 당장 인프라를 구축하기 보다는 기술력을 세계 최고 수준으로 끌어올린 후 시장 진입에 대한 준비가 필요하다고 판단해 R&D(연구개발) 투자에 집중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특히, 충전기술 국산화율이 40% 수준에 불과해 인프라 구축에 어려움을 겪고 있어 2022년까지 80% 이상으로 끌어올릴 예정이다.
수소자동차는 2016년 기준 123대 보급했고 2022년까지 1만5000대 달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허웅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