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이 팜유의 지속가능한 조달에 대한 논의를 확대하고 있다.
최근 일본에서는 지속가능한 팜유 조달에 대해 관계기업 및 기관이 참여하는 심포지엄 「지속가능한 팜유 회의」가 개최됐다.
팜유는 환경파괴, 인권문제를 야기할 수 있어 공급기업에 대한 사회적 책임 및 지속가능성 요구가 강화되고 있다.
일본기업들은 지속가능성을 실현하는데 있어 글로벌기업에 비해 뒤처져 있으나 Kao, Lion 등 생활화학제품을 생산하는 화학기업과 유통 소매기업 등이 앞장섬에 따라 다른 공급기업들의 관심도 날로 높아지고 있다.
팜유는 컵라면, 과자, 빵 등 가공식품, 화장품, 화장실 용품, 화학제품, 의약품, 바이오연료 등 다양한 용도에서 사용되고 있으며 1990년대부터 수요가 급신장해 2002년부터 15년 동안 생산량이 2배 이상 폭증했다.
현재 세계 생산량은 6000만톤에 달하며 대두를 제치고 세계 최대 식물유지로 자리잡고 있다.
앞으로도 수요가 계속 신장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으나 기름야자 농원 개발에 따른 열대우림 파괴, 농원 노동자의 인권 및 노동환경 문제가 부상하며 공급기업의 사회적 책임이 요구되고 있다.
일본에서 개최된 지속가능한 팜유 회의에서는 국제 인권 NGO인 앰네스티 등이 인도네시아 농원에서 자행되고 있는 8세 이하 아동노동 등의 실태를 보고하고 농장주로부터 소비자에게 전달되기까지 연결된 모든 관계자들이 각각 필요한 행동을 취하는 것이 문제 해결을 위한 지름길이라고 지적했다.
세계적으로는 WWF(세계자연보호기금), Unilever 등을 중심으로 한 팜유 생산기업, 소비재 생산기업, 투자가, NGO 등 7개의 스테이크홀더로 구성된 비영리단체 「지속가능한 팜유를 위한 원탁회의(RSPO)」가 2004년 출범돼 2008년부터 인증제도를 실시하고 있으며 유럽은 해당 인증제도를 활용함으로써 2020년 100% 지속가능한 팜유로 전환할 것이라고 선언한 바 있다.
특히, 네덜란드는 팜유 취급량이 많아 정부 차원에서 팜유의 지속가능성 향상에 총력으르 기울이고 있다.
네덜란드는 2014년 국내에서 가공된 팜유의 72%가 RSPO 인증으로 대체됐으며 앞으로도 더욱 강력한 관리 아래 지속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MB(Mass Balance), SG(Segregation) 등으로 관리된 팜유의 사용을 촉진할 계획이다.
UN은 지속가능한 개발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사회·환경·경제 분야와 관련된 17개 목표를 강조하고 있으며 지속가능한 팜유의 생산 및 조달은 대부분 항목과 연관성이 높은 것으로 파악된다.
일본은 산업계 전반적으로 SDGs 달성을 중시하고 있으며 팜유는 RSPO를 사용한 조달을 확대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Seiyu는 2015년 PB(자체브랜드) 상품으로 100% RSPO 인증 팜유 사용을 달성했다.
다만, 모회사 Walmart의 방침에 따라 인증 크레딧을 구입하는 B&C(Book & Claim) 방식으로 조달하고 있으나 인증된 팜유를 사용하기 위해 서플라이어의 협력과 소비자의 이해도 필요하다고 판단하고 추가적인 활동을 고심하고 있다.
일본 생활공동조합연합회는 2017년 RSPO 인증(B&C 방식) 팜유로 전환하고 2018년에는 MB 방식으로 인증받은 팜유를 투입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AEON은 2017년 지속가능한 조달방침을 결정하고 2020년에는 PB로 100% 지속가능한 팜유의 원료 이용을 목표로 내걸었다.
일반소비자에 대한 영향이 막대한 소매기업들이 인증제도 이용에 앞장서고 있다는데 큰 의미가 있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반면, 한계도 지적되고 있다.
RSPO 인증에서 선진적인 노력을 추진하고 있는 Saraya는 2010년 일본 최초로 RSO 인증(SG 방식) 팜유를 원료로 사용한 세탁세제를 발매하고 2011년 생산물량 전부를 B&C 인증을 받은 원료로 전환했으나 현재는 RSPO 인증 프리미엄이 급등함에 따라 대상제품을 한정하고 있다.
팜유로 제조하는 가공유는 종류가 다양해 가공처가 늘어날 때마다 프리미엄이 높아지기 때문에 프리미엄을 어떻게 흡수할지도 과제로 주목되고 있다.
특히, 일본은 복잡한 서플라이체인을 갖추고 있어 개별기업이 단독으로 대응하기에는 한계가 큰 것으로 파악되며 정부, NGO 등을 비롯한 관계자들의 협력이 요구되고 있다.<강윤화 선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