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가 화학기업의 화학물질 관리 지원을 강화한다.
환경부는 화학물질의 인체 위해성 자료 작성을 위한 지원 프로그램인 「K-CHESAR」를 개발해 화학물질 취급기업들이 활용할 수 있도록 4월20일부터 배포한다고 밝혔다.
화평법·화관법 도움센터, 화학물질정보처리시스템 홈페이지를 통해 무료로 배포할 예정이다.
화학물질의 등록 및 평가 등에 관한 법률(화평법)에 따르면, 일정규모 이상의 화학물질을 제조·수입하는 관련기업은 해당 화학물질 등록 시 위해성 자료를 작성해 국립환경과학원에 제출해야 한다.
환경부는 위해성 자료를 활용해 화학물질이 인체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필요 시 허가·제한·금지물질 등으로 지정해 엄격히 관리하고 있다.
하지만, 위해성 자료는 화학물질의 용도별 노출 시나리오, 노출 평가 등 다소 전문적인 내용으로 구성돼 있어 화학기업들이 직접 작성하는 것에 대해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다.
이에 따라 환경부는 유럽연합(EU)의 위해성 자료 작성 지원프로그램 EU CHESAR를 참고해 한국형 위해성 자료 작성 지원프로그램인 K-CHESAR를 개발했다.
K-CHESAR는 화학물질의 국내 사용실태 등 실정을 반영해 화학물질이 국민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보다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했다.
또 사용자 친화적인 환경을 구축해 프로그램 사용만으로 위해성 자료 작성 및 보고서 출력이 되도록 하는 등 사용기업들의 편의를 높였다.
환경부는 4월 서울을 비롯한 전국 각지에서 화학물질관리협회를 통해 위해성 자료 작성에 어려움을 호소하는 사용기업들을 대상으로 K-CHESAR 설명회를 개최할 계획이다.
설명회에서는 프로그램 시연 등을 통해 사용방법을 설명하고 사용기업들의 건의사항도 청취할 예정이다.
류연기 환경부 화학안전기획단장은 “화학물질로부터 안전한 사회를 만들기 위한 화평법의 이행을 위해 다양한 지원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며 “화학물질이 국민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정보를 확보해 화학물질 안전관리를 강화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강윤화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