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로 배출되는 화학물질 총량이 증가했으나 1급 발암성 화학물질의 배출량은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부는 전국 3732개 사업장을 대상으로 2016년 화학물질 배출량을 조사한 결과 2015년 대비 6.5% 증가한 5만7248톤의 화학물질이 대기, 수질 등의 환경으로 배출됐다고 7월31일 밝혔다.
화학물질 취급량이 1억7212만톤에서 1억9219만톤으로 11.7%(2007만톤) 증가했다는 점을 감안하면 취급량 대비 배출량을 뜻하는 배출율은 0.0312%에서 0.0298%로 소폭 낮아졌다.
저유가 등의 영향으로 관련 산업의 성장세가 이어지는 가운데 전반적인 화학물질 취급량은 늘어난 반면 페인트 등 화학물질 고배출 분야의 취급량은 둔화됐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물질별로는 자일렌(Xylene)이 29%, 톨루엔(Toluene), 15.7%, 초산에틸(Ethyl Acetate) 9.5%, MEK(Methyl Ethyl Ketone) 7.4% 등 4개 화학물질이 전체 배출량의 61.6%를 차지했다.
업종별로는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 30.3%, 고무 및 플래스틱제품 제조업 13.6%,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10.2%, 화학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 9.0% 등 4개 업종에서 전체 배출량의 63.1%인 3만6133톤이 배출됐다.
특히,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은 코팅·열처리공정에서 옥외도장, 분사(Spray), 건조 등으로 타 업종보다 배출률이 매우 높다.
지역별로는 경기 22.9%, 경남 16.4%, 울산 12.7%, 충북 9.1%, 충남 8.0% 순으로 배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는 조사대상 전체 사업장의 24.8%(925개)를 차지해 상대적으로 화학물질 배출량이 많았으며 경남은 강선 건조업, 울산시는 대규모 산업단지 등에서 배출량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국제암 연구기관(IARC)이 분류한 발암성 물질 54종의 배출량은 전체 배출량의 14%인 8011톤으로 2.7%(216톤) 증가했다.
물질별로는 인체 발암성 추정물질이 속한 그룹2A는 19.7% 증가, 인체 발암성 가능물질이 속한 그룹2B는 5.9% 증가했다.
다만, 발암성 물질 중에도 인체 발암성 물질로 분류되는 그룹 1에 속하는 벤젠, 트리클로로에틸렌(TCE: Trichloroethylene) 등 12개 물질의 배출량은 17.6% 감소했다.
기업체가 자발적으로 배출저감 스마트(SMART) 프로그램을 운영해 고위험 발암성물질 사용을 줄이고 회수 사용량을 늘리는 등 공정을 개선한 것이 주효했다.
송용권 환경부 화학안전과장은 “5년마다 화학물질 배출저감 계획서의 작성·제출을 의무화하는 제도가 2019년 11월29일부터 본격적으로 시행된다”며 “기업이 충실히 계획을 작성토록 독려·계도하고 지자체, 시민사회들과 화학물질 배출저감을 위한 제도 시행을 철저히 준비하겠다”고 강조했다. <강윤화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