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화학(대표 박진수)이 ESS(Energy Storage System) 특례할인 수혜를 가장 많이 입은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소속 이훈 의원이 산업통상자원부와 한국전력공사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15년부터 2018년 5월까지 ESS 설치기업 319곳이 특례할인제도를 통해 총 519억3760만원의 전기요금 할인을 받은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할인액 가운데 61.3%에 해당하는 318억원은 대기업에 돌아갔다.
LG화학 70억원, 고려아연 54억원, 현대중공업 40억원, 삼성SDI 13억원 등 대기업 49곳이 총 318억원의 할인 혜택을 받았으며 중견기업 66곳은 125억원의 할인 혜택을 받았다.
반면, 중소기업은 48곳이 28억5900만원 혜택을 받는데 그쳤다.
ESS 특례제도는 초기 투자비 부담이 큰 3MWh 용량 ESS 장치의 보급 확대와 ICT(정보통신기술) 기반의 에너지 신산업 활성화에 기여한다는 목적으로 시행됐으며 특례대상은 계절별‧시간별 차등요금이 적용되는 일반용, 산업용, 교육용 전기요금 사용자 가운데 ESS를 설치한 사업자로 사실상 자본규모가 큰 대기업이나 대형법인들이 해당된다.
2015년에는 ESS 특례할인을 받는 수혜기업 수와 할인액이 각각 6곳, 2300원 수준이었으나 2016년 55곳에 12억1450만원, 2017년 175곳에 150억6820만원 등으로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고 있다.
2018년 5월까지는 수혜기업이 319곳으로 138곳 신규 추가됐고 할인액 역시 356억3110만원 더 늘어났다.
즉 설치기업 수가 3년 사이 23배 가량 급증했고 할인액 역시 15배 가량 많아진 것으로 추산된다.
해당 기간 동안 ESS 특례할인 대상기업들이 경부하 시간에 충전한 전력량은 151.53GWh로, 방전한 전력량은 106.60GWh로 나타났다.
특례할인은 우선적으로 2020년까지 운영될 예정이며 현재 특례할인 적용기업들에 대한 할인액만 1000억원을 넘어갈 것으로 예상된다. <강윤화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