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수단지에 이어 대산단지, 울산단지도 미세먼지 배출 단속을 받는다.
금강유역환경청, 충청남도, 서산시, 국립환경과학원, 충남보건환경연구원, 한국환경공단 등 6개 기관이 파견한 총 12개팀 30명이 5월13-31일 대산단지 입주기업 등 78사에 대한 일제 점검에 돌입한 것으로 알려졌다.
점검팀은 대기오염물질 방지시설 운영 적정성과 배출허용기준 준수, 미신고 오염물질 배출 여부와 함께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조작 의혹이 제기됨에 따라 운영기록부를 제대로 작성했는지도 중점 점검할 계획이다.
특별단속팀은 5월13일 대산단지의 한화종합화학, LG화학, 현대케미칼, 현대OCI 사업장을 방문한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해당 단속은 4월 국내 최대 석유화학단지인 여수단지의 미세먼지 배출 점검에 이은 대규모 특별단속이며 대산단지에서도 실시된 만큼 조만간 울산단지에서도 진행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석유화학기업들은 단속 확대가 미칠 영향을 우려하고 있다.
특별단속이 당장 생산에 차질을 빚을 가능성은 크지 않으나 자발적 노력을 이어가고 있고 최근 각종 캠페인 및 홍보영상 공개 등을 통해 환경오염의 주범이라는 이미지를 개선시키는데 진전을 나타낸 가운데 단속 대상이 됐다는 것만으로 또다시 이미지 타격을 입게 될지도 모르는 우려에서이다.
환경부는 1월 미세먼지 다량 배출산업의 주요 사업장과 고농도 미세먼지 자발적 대응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고 5개 산업 24개 관련기업이 참여한 협약에서 정유, 석유화학 분야에서는 절반이 넘는 13사가 참여하며 자발적 저감노력을 이어가고 있다.
이에 일부에서는 정부의 미세먼지 저감정책의 목표 시점이 성급하며 현실에 맞도록 시행시기를 조정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산업연구원은 5월 초 발표한 미세먼지 문제의 산업적 영향 및 시사점 보고서를 통해 “기술개발의 속도를 고려치 않은 채 배출허용기준을 너무 높게 설정함으로써 기술개발을 통한 미세먼지 저감의 인센티브가 약해질 가능성이 있다”며 “R&D(연구개발)와 신규설비 설치에 최소 2-3년이 소요되는 점을 고려해 미세먼지 감축 목표 시점의 현실적 조정이 필요하다”고 강조한 바 있다. (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