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란산 원유 수입은 완전히 차단된 것으로 파악된다.
시걸 맨델커 미국 재무부 테러·금융담당 차관은 9월8일(현지시간) 이란과 원유 거래를 차단하는 미국의 세컨더리 보이콧(제3자 제재)에 예외가 없다는 점을 재확인했다.
아랍에미리트(UAE)를 방문한 시걸 맨델커 차관은 기자들에게 “미국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말한 것처럼 이란에 대한 압박을 계속할 것”이라며 “이란산 원유 거래와 관련한 어떠한 종류의 제재 예외도 없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이란산 원유 거래에 대한 제재는 단순히 유조선 뿐만 아니라 글로벌 모든 관련기업에게 보내는 예리한 경고”라며 “전세계 민간기업과 정부는 거래 상대로 미국과 이란 중에 택일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아울러 이란 혁명수비대와 거래 역시 제재 대상임을 강조했다.
미국은 2018년 5월 이란 핵합의(JCPOA: 포괄적공동행동계획)를 일방적으로 탈퇴한 뒤 이란에 대한 제재를 복원했고, 이란 경제를 좌우하는 원유 수출을 막는데 제재의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란을 겨냥해 미국이 강경하고 적대적인 정책을 강행하면서 핵합의를 유지하려는 유럽이 양측 모두에게서 강한 압박을 받고 있다.
이란은 2019년 5월8일부터 9월6일까지 60일 간격으로 3차례 핵합의 이행 수준을 축소하면서 유럽에 이란산 원유 수입을 재개하라고 요구했다.
이란이 핵프로그램을 감축·동결하는 조건으로 이란산 원유 수입과 금융 거래에 대한 제재를 폐지해 이란의 경제적 이득을 보장하는 것이 핵합의로 약속한 작동 방식인 만큼 지켜야 한다는 것이다.
로이터(Reuters)는 8월25일 이란 내부 소식통을 인용해 이란이 유럽에 하루 최소 70만배럴의 원유를 수입할 것을 요구했다고 보도했다.
영국, 프랑스, 독일 등 유럽 서명국을 대표해 프랑스가 미국의 제재에 저촉되지 않으면서 이란산 원유를 수입할 수 있는 방안을 놓고 이란과 협상하고 있으나 아직 결론이 나지 않았다.
그러나 미국이 최소한으로 용인 또는 묵인하지 않으면 프랑스가 이란에 제안한 이른바 핵합의 구제안은 실효가 없을 것으로 판단된다.
시걸 맨델커 차관은 또 이란의 화학제품을 거래하다가 미국의 제재 대상이 된 대행사 2곳이 UAE(아랍에미리트)에 본사가 있었다는 점을 언급하면서 “과거와 동일하게 문제적 거래는 UAE에서 벌어졌다”면서 “이란과 거래에 계속 연루되면 비슷한 대가를 치러야 한다는 점을 알아야 한다”라면서 UAE를 통한 이란과 우회거래에 대해서도 경고했다.
국내에서는 SK에너지, SK인천석유화학, 현대오일뱅크, 현대케미칼, 한화토탈 등 5사가 이란산 컨덴세이트(Condensate)를 비롯한 원유를 수입했으나 5월 초 미국의 제재 예외조치가 해제된 이후 카타르산 등으로 대체한 것으로 나타났다. (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