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으로 소재·부품·장비 국산화를 추진할 때 시험인증 소요시간이 대폭 단축된다.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은 한국 인정기구(KOLAS) 9개 공인기관이 협약을 맺고 시험인증 신속처리(Fast-Track) 서비스를 시행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시험인증 신속처리 서비스는 정부 소재·부품·장비 경쟁력 강화대책의 반도체, 디스플레이, 자동차, 전기전자, 기계·금속, 기초화학 등 6대 지원 분야에 해당하거나 일본산 대체 소재·부품·장비를 개발해 일본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려는 국내기업이 신청 대상으로, 품목별 대기기간과 시험기간이 최대 절반으로 단축돼 조기에 시장진출이 가능해지며 불가피한 상황을 제외하면 대상기업의 추가적인 비용 부담은 발생하지 않는다.
한국시험인증산업협회는 현재 운영하고 있는 소재부품 수급 대응 지원센터 및 범부처 일본 수출규제 애로 현장지원단과 연계해 수출규제로 난항을 겪고 있는 대상기업에게 일대일 맞춤 서비스도 제공할 계획이다.
9월6일 협약식을 체결하면서 교정기술원이 가장 먼저 자사에서 개발한 색휘도계(디스플레이 성능측정)의 제1호 시험인증 신속처리 서비스 신청서를 서비스 참여기관인 에이치시티에게 제출하고 첫 패스트트랙 적용을 받게 됐다.
교정기술원은 기존 일본 미놀타(Minolta) 생산제품보다 가격경쟁력과 성능에서 우수한 색휘도계를 개발했으나 신뢰성 검증을 빨리 받지 못해 판로 개척에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해당 서비스는 9개 KOLAS 공인기관의 자발적 합의를 통해 마련됐다.
9개 공인기관은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KCL), 한국기계전기전자시험연구원(KTC),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KTR), 한국산업기술시험원(KTL), 한국의류시험연구원(KATRI), FITI시험연구원, KOTITI시험연구원, 에이치시티, 케이씨티엘 등이다. (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