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에 진출한 국내기업의 절반가량이 미국-중국 무역분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받고 있다.
산업연구원이 대한상공회의소 베이징(Beijing)사무소, 중국한국상회와 공동으로 중국에 진출한 한국계 212사를 대상으로 9월 2-27일 시행한 중국 진출 한국기업 경기실태조사: 2019년 3분기 현황과 4분기 전망 결과, 전체의 3분기 시황 BSI는 82로 2분기와 동일했지만 매출은 2포인트 떨어진 87로 집계됐다.
판매 부문에서는 현지판매가 90에서 85, 한국 재판매가 81에서 80, 제3국 판매가 95에서 93으로 모두 하락세를 나타냈다.
비용 부문도 인건비는 138에서 136, 원자재 구입은 122에서 114, 설비투자는 104에서 99로 일제히 떨어졌다. 특히, 설비투자는 2016년 1분기 이후 처음으로 100을 밑돌았다.
경영여건 부문에서는 영업환경은 73으로 2분기와 같았지만 자금 조달은 84에서 79로 5포인트 하락했고, 제도정책은 85에서 82로 4분기 만에 하락세로 전환했다.
경영 애로사항으로 현지수요 부진이 23.0%로 가장 많았고 수출 부진 13.6%, 인력·인건비 문제 12.2%, 경쟁력 약화 7.0%, 위안화 변동 5.2% 등이 뒤를 이었다.
업종별 매출현황 BSI는 제조업(87)이 2분기보다 5포인트 하락한 반면 유통업(84)은 4분기 만에 상승으로 돌아섰다.
전기·전자(103)와 자동차(103)는 100을 소폭 상회했으나 금속기계(97)와 화학(78)은 100 밑으로 떨어졌다. 섬유·의류(63)는 기준선에 크게 미달했다.
4분기 전망도 밝지 않았다.
전체의 4분기 시황 전망 BSI는 3분기보다 9포인트 급락한 88에 그쳤고, 매출 역시 102에서 98로 하락하며 3분기 만에 100 아래로 떨어졌다.
다만, 현지판매와 설비투자 전망치는 각각 103, 101로 기준선을 웃돌았다.
전기·전자(97)와 화학(97)의 매출 전망 BSI가 3분기보다 큰 폭 하락했고, 유통업(94)도 하락세가 이어진 반면에 자동차(127), 기타(110)는 100을 넘었다.
미국-중국 무역분쟁 영향에 관한 설문에서는 2018년 3분기 부정적이라는 응답률이 33%에 불과했지만 2019년 3분기에는 51%로 증가했다. 영향이 없다는 응답은 62%에서 47%로 낮아졌다.
부정적 영향은 중국경기 둔화로 인한 현지수요 위축(56%), 미국의 중국제재로 인한 미국수출 감소(23%), 글로벌 교역 둔화로 인한 수요 감소(14%) 순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