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케미칼(대표 김철·전광현)이 생산한 CFRP(Carbon Fiber Reinforced Plastic)가 현대자동차에 적용됐다.
SK케미칼이 자사 CFRP 브랜드 스카이플렉스(SKYFLEX)가 현대자동차 유럽연합(EU) 생산모델인 i30N 프로젝트C에 적용됐다고 11월19일 밝혔다.
현대자동차 양산 모델에 탄소복합소재가 보닛(엔진후드) 소재로 적용된 것은 SK케미칼 스카이플렉스가 처음이다.
현대자동차의 EU 한정모델인 i30N 프로젝트 C는 철에 비해 무게는 5분의 1이지만 강도는 10배에 달하는 스카이플렉스를 보닛에 적용해 보
닛 무게를 기존 동일 모델에 비해 절반으로 줄였다.
현대자동차에 따르면, 자동차 중량이 5% 줄어들면 일반적으로 연비는 1.5%, 동력성능은 4.5%씩 향상된다.
또 가벼운 차체는 충돌에너지를 낮추어 사고가 발생했을 때 피해를 줄이고 자동차의 가속과 조향, 제동 성능 향상에도 유리하다.
자동차 배출가스 규제의 지표물질인 이산화탄소(CO2)를 기준으로, 2016년 EU 내 자동차 대당 이산화탄소 배출량은 118.1g/km 수준으로 알려져 있다.
EU는 2021년까지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95g/km 수준으로 낮추기 위한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프로스트 앤 설리번(Frost & Sullivan)은 2021년 EU 환경 목표를 충족하기 위해서는 자동차 대당 매년 45kg 이상, 5년 동안에는 약 230kg 이상의 경량화가 추가적으로 필요하다고 분석하고 있다.
서성구 SK케미칼 복합소재사업부 사업부장은 “EU를 비롯해 세계적인 자동차 배출가스 규제 강화에 대한 움직임이 빠른 속도로 확산되고 있다”며 “이에 따라 배출가스 저감에 탁월한 자동차 경량화를 위한 CFRP 사용은 더욱 확대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독일 복합소재협의체인 AVK는 세계 자동차용 CFRP 시장이 2019년 5조원에서 매년 8%씩 성장해 2025년 8조원으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