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2019년 8월 이후 발생한 에너지저장장치(ESS) 화재사고 5건의 원인으로 배터리 이상을 지목하면서 LG화학과 삼성SDI가 큰 타격을 입게 됐다.
배터리 생산기업들은 2차조사 결과를 통해 불확실성을 해소하고 침체에 빠진 ESS 사업을 반등시키기를 기대하고 있으나 무산됐다.
화재의 원인이 배터리 결함이 아니라는 입장이나 조사단이 배터리 이상으로 결론을 내렸기 때문이다.
책임 소재를 둘러싼 ESS 생산기업들의 갈등, 보험과 배터리 생산기업 사이의 구상권 청구소송 등 법적 공방도 예상된다.
2월6일 정부 합동조사단의 2차조사 결과 발표 이후 LG화학과 삼성SDI는 일제히 화재 원인은 배터리가 아니라며 조사 결과를 조목조목 반박했다.
정부는 2019년 6월 1차조사 결과 발표 때는 화재 원인을 배터리 자체보다는 외부 요인으로 판단했으나, 이후에도 추가 화재가 발생하자 결국 배터리 이상을 원인으로 지목했다.
2019년 1차조사 결과 발표 후 배터리 생산기업들은 자체 안전대책을 마련·시행해왔고, LG화학과 삼성SDI 모두 화재 방지를 위해 ESS 가동률을 제한하며 손실비용을 부담했다.
특히, LG화학은 2017년 중국 난징(Nanjing) 공장에서 생산된 ESS 배터리 전량을 교체하고, 삼성SDI와 유사한 특수 소화시스템을 적용한다는 추가 대책을 제시했다.
삼성SDI는 ESS 배터리 셀에서 발화해도 바로 소화시키고 인근 셀로 불이 확산되는 것을 막는 특수 소화시스템을 신규·기존 모두에 적용하는 등 안전대책을 2019년 10월 발표했다.
이에 따라 LG화학은 충당금 3000억원을 설정했고 2019년 4분기에 275억원의 적자를 기록했다. 2019년 사상 최대 매출을 달성하고도 ESS 관련 일회성 비용으로 전체 영업이익이 60% 급감했다.
삼성SDI 역시 특수 소화시스템 등 대책에 2000억원을 투입하면서 4분기 영업이익이 전년동기대비 91.2% 격감해 201억원에 불과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