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월16일 브렌트유(Brent)는 유럽의 이동제한 조치 완화 검토 소식 영향으로 상승했다.
한국석유공사에 따르면, 런던석유거래소(ICE)의 브렌트유 선물유가는 배럴당 27.82달러로 전일대비 0.13달러 상승했으며, 뉴욕상업거래소(NYMEX)의 WTI(서부텍사스 경질유)는 전일과 동일한 19.87달러에 거래를 마감했다.
두바이유(Dubai)는 0.04달러 상승하며 19.72달러를 형성했다.

4월16일 국제유가는 유럽이 이동제한 조치 완화를 검토하고 있다는 소식에 영향을 받아 상승했다.
유럽에서 일부 국가가 코로나19(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확산 이후 실시해온 엄격한 이동제한 조치를 완화할 움직임을 나타낸 것이 국제유가 상승요인으로 작용했다.
폴란드는 4월20일부터 공원과 삼림 등을 다시 개방할 예정이다. 다만, 마스크 착용 의무 등의 규정은 적어도 5월까지 유지할 것으로 알려졌다.
반면, 석유 수요 감소 추세는 국제유가 상승폭을 제한했다.
Conoco Phillips는 북미지역에서만 석유 생산량이 약 22억5000배럴 감소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고, Enverus 역시 미국 시추리그 수가 전주대비 74기 줄어들었다고 밝히는 등 석유 수요 감소세에 따른 타격이 이어지고 있다.
OPEC(석유수출국기구)은 석유 수요 전망을 하향 조정했다.
OPEC은 최신 월간 석유시장 보고서(MOMR)에서 2020년 석유 수요가 9280만배럴로 전년대비 690만배럴 줄어들 것으로 예상했다.
2분기에 전년동기대비 1200만배럴 급감하고, 특히 4월에는 전년동월대비 2000만배럴 줄어들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5월부터 실시할 OPEC+의 감산조치가 발표된 이후에도 국제유가는 반등하지 않고 있다.
ABN Amro 은행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4월 초 사우디-러시아 감산 합의 가능성을 언급한 이후 이미 가격에 반영돼 추가적인 영향이 없다고 평가하고 있다.
사우디와 러시아는 장 종료 이후 공동성명서를 통해 글로벌 석유 시장을 모니터링하고 있으며 필요할 때 OPEC+와 공동으로 행동에 나설 것이라고 발표했다. (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