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C(대표 정몽진‧정몽익)가 프라이머 없이 사용할 수 있는 자동차 유리용 실란트(Sealant)를 개발했다.
KCC가 개발한 프라이머리스 DGU는 자동차 유리를 차체에 부착할 때 사용하는 실란트 접착제로 국내에서는 KCC가 유일하게 생산하고 있다.
자동차에 유리를 부착하기 위해서는 유리와 차체 프레임에 각각 프라이머를 바른 후 사이에서 접착제 역할을 하는 DGU를 도포해 부착하고 있다.
그동안 유기용제가 들어 있는 프라이머 도포 과정을 없앨 수 있다면 작업환경 개선에 효과적일 뿐만 아니라 환경설비 투자 비용 및 원가 절감의 효과도 얻을 수 있다는 점에서 자동차기업들의 관련 니즈가 있었고 KCC가 프라이머 없이도 차체 부착이 가능한 DGU를 개발함으로써 대응에 나선 것으로 알려졌다.
프라이머리스 DGU 개발에는 KCC가 자체 기술력으로 개발한 부착증진제가 주효했다.
KCC는 다양한 자동차 도장 시스템에 대해 부착력을 발휘함으로써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개발했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차체는 성형된 강판에 각기 다른 용도의 자동차용 페인트를 3-4번 도장하는 다층계 도장 시스템으로 제작하기 때문에 DGU가 도포되는 면은 실제로는 강판이라기보다 강판 위에 칠해진 페인트 도장 면에 가까운 것으로 알려졌다.
즉, 자동차마다 도장 시스템이 다르기 때문에 최적화된 KCC만의 부착증진제를 통해 P2P(Primerless To Paint) 기술 개발에 성공할 수 있었다.
여기에 KCC는 차체가 아니라 유리에 칠하는 프라이머 공정도 삭제하는 P2G(Primerless To Glass) 기술도 개발하는데 성공했으며 실용화된다면 자동차기업들의 공정개선과 원가절감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P2P는 글로벌기업들의 기술 경쟁으로 최근 보편화되고 있는 추세이지만 P2G는 시장 선점에 의의가 있기 때문에 추후 시장 확대 가능성이 주목되고 있다.
KCC 관계자는 “승용차와 SUV(스포츠유틸리티자동차)에만 적용하던 P2P 기술을 버스, 트럭, 중장비에도 적용하기 위해 준비하고 있다”면서 “앞으로도 니즈를 철저히 분석하고 경쟁력 있는 기술과 신제품을 개발해 적극적으로 시장 확대에 나설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