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본이 화학공장의 스마트보안에 속도를 내고 있다.
일본 경제산업성은 화학공장이나 전력 플랜트에 스마트 보안기술을 도입하기 위한 스마트보안 민관협의회를 창설하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그동안 신규 인증 사업장 제도 창설과 IT를 사용한 보안기술 관련 실증사업을 실시했으나 스마트보안에 대한 투자가 확산되지 못하고 있다는 판단 아래 민관협의회를 통해 스마트 보안기술 보급에 박차를 가할 방침이다.
경제산업성, 민관협의회 창설 추진
스마트보안 민관협의회는 경제산업상이나 경제산업성 국장, 정유·화학 등 관련 산업계 단체 회장으로 구성할 예정이다.
스마트보안 도입 로드맵을 작성하고 도입기업의 활동을 촉진함과 동시에 현재 애로사항으로 부상하고 있는 규제개혁 등을 검토할 계획이다.
경제산업성은 2017년 슈퍼 인증 사업장 제도를 창설하고 보안의 스마트화를 촉진했으며 2018년에도 커넥티드 인더스트리즈 중점 분야로 민간의 기술 실증을 지원한 바 있다.
하지만, 사업자들은 생산설비 노후화와 인력 부족으로 보수비용이 확대되고 있다는 인식 아래에서도 스마트화의 효과가 명확하지 않고 규제개선이 더디다는 점 등을 이유로 투자를 주저하고 있다.
이에 따라 경제산업성은 민관으로 구성된 민관협의회를 설치하고 디지털 기술을 활용함으로써 산업의 안전성과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스마트보안을 강력하게 촉진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한 것으로 알려졌다.
스마트보안 관련 시스템을 더욱 명확하게 구축하고 보급 방향성도 민관이 함께 정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인공지능·드론·로봇 기술 도입 적극화
민관협의회는 경제산업상, 관계 국장, 정유‧화학‧전력‧가스‧철강‧계장‧엔지니어링‧유지보수 산업계 단체장 등으로 구성된 회의체와 분야별 부회로 구성할 계획이다.
기본 회의체는 연간 1회 회의를 개최하며 분야별로 디지털화를 위한 로드맵을 작성하고 개별대책의 횡적 전개 촉진, 분야별 부회의 진척 확인 등을 실시할 방침이다.
개별기업에서 차출한 위원으로 구성되는 고압가스, 전력 등 분야별 부회에서는 액션플랜을 작성하도록 할 방침이다.
인공지능(AI), 드론, 로봇 도입을 위한 기술 실증과 해당 기술 도입을 위해 필요한 보안 규제 개선에 대한 아이디어를 모으고 스마트 보안 인재를 육성하기 위한 시스템 확립 등을 목표로 활동할 것으로 예상된다.
분야별 부회는 연간 4-5회 정도 회의를 개최하는 것을 계획하고 있다.
경제산업성은 앞서 보안 현장에서 드론을 활용하도록 허가했으며 현재 탱크와 배관 내에도 드론을 적용하는 방안을 검토하는 등 규제 완화에 적극 나서고 있다.
AI는 보안과 관련된 빅데이터 해석을 위해 필요하다고 판단하고 있으며 2020년 AI를 안전에 활용하기 위해 필요한 가이드라인을 작성할 방침이다.
경제산업성은 예방보안에서 예지보안으로 패러다임을 바꾸겠다는 목표 아래 설비상태에 맞추어 적절한 보안기술을 활용함으로써 보안능력 강화와 생산성 향상을 도모하겠다는 청사진을 그리고 있으며,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스마트보안 보급이 절대 필요하다고 판단하고 있다.
화학공장 안전능력 강화 “필수”
화학공장 등에서 발생하는 산업재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산업안전에 대한 의식 개선이 요구되고 있다. 
산업안전을 강화하면 제조설비 가동 및 생산제품 공급을 안정화시킴으로써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화학 시장에서는 업스트림인 석유정제부터 플래스틱 가공 및 리사이클기업으로 안전능력 향상을 위한 움직임이 확산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인재 부족, 전사적인 안전의식 결여, IoT(사물인터넷) 기술 활용 등에 대한 대응이 요구되고 있다.
산업활동은 안전 확보·유지를 대전제로 하고 있으며 안전에 대한 국민의 기대감이 계속 높아지고 있으나 현장에서는 적절한 대응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일본 후생노동성에 따르면, 2017년 산업재해에 따른 사망자는 978명으로 전년대비 5.4%, 4일 이상의 휴무가 불가피한 부상자를 포함한 사상자는 12만460명으로 2.2% 증가했다.
화학산업을 비롯한 제조업은 사망자가 160명으로 9.6% 감소했으나 사상자는 2만6674명으로 0.8% 증가했다. 다만, 최근 10년간을 종합하면 모든 업종에서 대체로 감소세를 나타냈다.
위험물 취급이 많은 화학공장은 사상자가 2013년 1869명, 2014년 1949명, 2015년 1844명, 2016년 1919명, 2017년 1990명으로 증감을 거듭하고 있다.
특히, 석유, 에틸렌(Ethylene) 등 폭발 위험성이 높은 석유화학 공장에서 폭발 및 화재를 동반한 중대사고가 잇따르고 있다.
위험물 취급으로 중대사고 잇달아
2007년 미츠비시케미칼(Mitsubishi Chemical)의 가시마(Kashima) 소재 스팀 크래커 화재사고를 비롯해 2011년 도소(Tosoh)의 난요(Nanyo) 소재 VCM(Vinyl Chloride Monomer) 플랜트, 2012년 미쓰이케미칼(Mitsui Chemicals)의 오다케(Otake), Nippon Shokubai(NSC)의 히메지(Himeji) 소재 아크릴산(Acrylic Acid) 플랜트에서 잇따라 대규모 사망사고가 발생했다.
모두 이상 화학반응에 따라 플랜트가 비정상적으로 가동하면서 일어난 것으로, 이상반응 시의 리스크 평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계기로 작용했다.
이에 따라 제조시설의 안전을 담보하는 기술·시스템 관리의 기본체계인 안전기반을 개선하고 제조현장 개선을 통해 안전성을 높이는 등 사업자가 자율적으로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안전능력 개선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전문인재 육성과 스마트 기술 도입 시급
일본에서는 산업안전에 관한 다양한 문제를 폭넓고 공학적으로 조사·연구하는 안전공학회가 안전능력을 자율적으로 평가하는 보안능력 평가 시스템을 마련해 보급하고 있다.
보급 초기에는 석유정제, 석유화학, 제철을 중심으로 평가를 진행했으나 플래스틱 가공 등 가공형 화학기업 및 리사이클기업으로 확대해 다양한 분야에서 보안능력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다만, 인재 육성이 선결과제로 부상하고 있다.
전체 프로세스를 파악할 수 있는 인재 부족으로 사고 방지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리스크 평가능력 및 위험 감지능력이 저하되고 있기 때문이다.
일본은 고압가스보안법 등 안전 관련법규 준수를 선행함에 따라 내부적으로 안전방침을 설명하거나 지도할 수 있는 인재가 매우 적어 안전 전문가 육성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산업안전에 대한 본사 및 경영층의 의식 개혁도 필수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공장 단독으로는 제조시설 가동 및 안전 관련직원 부족, 기술전승 지연 등에 대한 대응에 한계가 있어 전사적인 대응이 불가피하기 때문이다.
아울러 공장 등에서 발생한 폭발·화재사고는 주변 주민에게 피해를 입힐 뿐만 아니라 생산중단에 따른 매출 악화, 사회적 평가 저하 등으로 경영을 압박하는 요인으로도 작용하고 있다.
특히, 광범위한 분야에서 사용되는 화학소재는 사고 등에 따른 공급중단으로 서플라이 체인에 막대한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어 산업안전이 초래하는 경제효과에 대한 검증이 시급해지고 있다.
일본은 화학산업의 최상단에 위치하고 있는 석유화학 컴플렉스의 국제경쟁력 강화 및 안전능력 향상을 통해 안정공급에 힘을 기울이고 있으며 IoT 기술 등을 활용한 스마트화 전략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