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MRI, 고기능 점·접착 기술 세미나 ··· 소비패턴 변화, 환경성 중시
관리자 design
화학뉴스 2020.07.17
점·접착제는 코로나19(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사태로 새로운 전환점을 맞이하고 있다.
2020년 7월17일 화학경제연구원(원장 박종우)이 주최한 제7회 고기능 점·접착 기술 세미나에서 한화솔루션 성필제 과장은 COVID-19 Pand emic 이후 New Normal 시대의 대비를 위한 점접착제 산업 영향분석 발표를 통해 “코로나19 펜데믹(Pandemic : 세계적 대유행)에 따른 사회 및 기술의 변화가 점·접착제 시장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강조했다.
코로나19 사태로 종이와 패키징 분야에서 비대면 구매가 증가하면서 포장·배송이 함께 늘어나 포장용, 라벨링용 접착제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건축 분야에서는 에너지 자립형 건축을 위한 패시브, 액티브 요소용 접착제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자동차 분야에서는 전기자동차(EV)의 센서 소재, 인테리어 구조용과 함께 파워트레인용 접착제의 사용이 증가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하지만, 목공 분야는 건물 및 가구 보수용 소비재와 DIY(Do it Yourself) 접착제 수요가 증가하는 반면 비필수 소재이며 내구재인 가구 산업용 접착제는 수요가 감소할 것으로 예상했다.
헬스케어 분야는 홈트레이닝 수요 증가로 홈트용품의 접착제 수요 증가와 건강·보건 관리를 위한 스마트워치 등의 웨어러블(Wearable) 기기 수요 증가로 열전달, 열차단, 전도성 등의 기능성 접착제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최해준 연구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