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전기자동차(EV)를 5년 동안 113만대 보급하는 계획을 발표했다.
환경부는 7월22일 그린뉴딜 주관부처로서 친환경 미래 모빌리티 보급 확대를 위한 재정투자와 제도 개선을 통해 자동차 부문의 녹색 전환을 완성하겠다고 밝혔다.
우선, 친환경 미래 모빌리티 보급 확대를 위해 2025년까지 총 20조3000억원을 투자해 약 15만1000명의 일자리를 창출할 계획이다.
친환경 미래 모빌리티 보급사업은 ▲EV 보급 ▲수소자동차 보급 ▲노후 경유자동차 친환경 전환 등 세부과제로 구성돼 있으며 EV는 2025년까지 승용·버스·화물차 누적 113만대를 보급하고 충전 기반시설을 4만5000기 확충하는 세부 계획을 발표했다. 현재는 국내 EV 보급대수 11만3000대, 전기충전기는 2만2000기로 알려졌다.
환경부는 또 친환경 자동차 확산을 위해 보조금 지원시한을 최대 2025년까지 연장하고 지원물량을 대폭 확대할 예정이다.
세제 혜택 연장과 함께 충전요금 부과체계 개선 등도 적극적으로 추진하며 2025년까지 전시·체험 시설을 복합적으로 갖춘 랜드마크형 EV 충전소도 4곳 구축한다.
이밖에 국산 EV 기술개발에 약 1300억원을 투자하고 신규 공동주택의 충전기 의무대상 범위·설치 수량을 확대하는 등 각종 제도를 개선해 2025년까지 113만대 보급을 뒷받침할 방침이다.
저공해 자동차 보급목표제를 강화해 미래 자동차 수요에 대응하는 공급도 안정적으로 확보할 계획이다.
EV는 2030년 300만대로 전체 판매 자동차의 33%로 확대하고 2040년에는 830만대를 보급한다는 장기 계획을 세우고 있다.
수소자동차는 중·대형 스포츠유틸리티자동차(SUV) 중심의 승용차와 함께 중·장거리 버스, 중·대형 화물차 등으로 보급 차종을 늘려 2025년까지 누적 20만대를 보급할 계획이다.
수소 버스는 2020년 시내버스 보급을 시작으로 중·장거리 버스까지 확대해 2025년까지 4000대를 보급하며 중·대형 화물차는 2021년부터 수도권-충청권에서 시범사업(5대) 후 2025년까지 총 645대를 보급한다.
사업용 수소자동차는 전기 충전요금 수준까지 비용을 낮출 수 있도록 연료 보조금을 지급하고 2025년까지 수소충전소 누적 450기를 구축할 계획이다.
온실가스를 포집해 활용하는 블루 수소충전소, 바이오가스·재생에너지를 통해 수소를 생산해 온실가스가 발생하지 않는 그린 수소충전소를 중점적으로 확대할 예정이다.
미세먼지와 온실가스를 많이 배출하는 노후 경유자동차는 퇴출을 가속화하고 조기 폐차 등 친환경 전환을 확대해 2024년까지 노후 경유자동차 제로(0)화를 이룰 계획이다.
노후 경유자동차는 2020년 6월 말 기준 전국에 약 184만대가 등록돼 있고 152만대에 저공해 조치가 필요한 것으로 알려졌다. (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