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이 드론(무인항공기)을 활용한 석유화학 플랜트 유지관리에 속도를 내고 있다.
일본 경제산업성과 소방청은 석유화학 컴플렉스에서 그동안 작업자가 육안으로 직접 실시했던 검사들을 드론을 통해 촬영한 화상을 활용하는 방식으로 대체하기 위해 실증실험을 실시했으며 부식이나 마모 등을 확인하는데 충분한 수준으로 유효한 결과를 얻었다고 밝혔다.
드론을 플랜트 내부에서 안전하게 비행시키기 위한 가이드라인도 정비하고 있다.
석유화학 설비 점검에 드론을 활용하면 그동안 높은 곳에 설치한 설비를 검사할 때 사용했던 발판 설치 비용을 감축하고 업무 및 점검 효율화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석유화학 컴플렉스는 고압가스 생산설비에서 도관을 제외한 대부분의 영역을 유지보수 담당자가 직접 눈으로 확인하는 방식으로 점검하고 있다.
일본은 최근 석유화학 생산설비 점검에 공업용 카메라를 사용하는 것을 허가했으며 제도상으로는 현재도 드론으로 촬영한 사진을 활용하는데 문제가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실제로 효과가 어느 정도인지 규명된 바가 없고 안전한 비행이 가능한지도 확인되지 않아 적용에 어려움을 겪어왔다.
이에 경제산업성이 1월30일 이데미츠코산(Idemitsu Kosan)의 치바(Chiba) 사업장에서 드론을 탱크 내부에 비행시키고 사진을 촬영해오도록 하는 실증실험을 실시했다.
실증실험 결과 부식, 마모, 흠집, 스케일 부착 및 퇴적, 파손, 금, 변형‧헐거움‧박리 등을 충분히 파악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경제산업성은 소방청, 후생노동성과 협력해 플랜트에서 드론을 안전하게 비행시키기 위한 가이드라인을 작성하고 있다.
그동안 야외비행만을 대상으로 삼았으나 실증실험 결과를 활용해 실내에서도 안전하기 비행시키기 위해 필요한 위험평가와 리스크 대책 등을 포함시키고 드론을 플랜트 보안에 활용하는데 박차를 가할 방침이다.
경제산업성은 고압가스 설비 보안검사 기준을 수정함으로써 그동안 작업자가 눈으로 직접 보면서 검사했던 도관, 계기류, 플레어스택 등을 공업용 카메라를 활용하는 검사로 대체할 계획이다.
점검 중 문제를 확인하면 손상‧부식‧변형을 정량평가해야 하지만 현재는 드론에 계측 수단을 설치할 수 없다는 문제가 지적되고 있어 민간 사업자들을 대상으로 검사 도구를 탑재한 드론 개발과 실증을 지원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 (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