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유화학산업은 코로나19(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여파로 매출액이 격감했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국내기업은 2분기 매출액이 전년동기대비 10.1% 감소하며 6분기 연속 외형이 축소됐고 감소 폭은 1분기(마이너스 1.9%)의 5배에 달했다.
매출액 증가율이 마이너스 10%를 하회한 것은 한국은행이 분기별 통계를 내기 시작한 2015년 1분기 이후 처음이다.
매출액은 제조업이 1분기 마이너스 1.9%에서 2분기 마이너스 12.7%로, 비제조업도 마이너스 1.9%에서 마이너스 6.5%로 모두 감소 폭이 커졌다.
석유화학은 국제유가 하락 여파로 마이너스 5.2%에서 마이너스 26.8%로 감소 폭이 확대됐고 운송장비는 자동차 수요 부진에 영향을 받아 매출액 감소 폭이 마이너스 3.5%에서 마이너스 17.3%로 커졌다.
도소매업(마이너스 2.7%에서 마이너스 6.9%)은 무역 감소로, 운수업(마이너스 1.8%에서 마이너스 15.8%)은 항공사 여객 수송과 항공화물 수송 감소로 외형이 축소됐다.
총자산증가율은 1.1%로 전년동기대비 0.9%포인트 늘었다. 총자산에 부채가 포함되고 대기업을 중심으로 회사채를 많이 발행하면서 상승한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2분기 국내기업 영업이익률은 5.3%로 0.2%포인트 하락했다. 대기업이 5.2%에서 5.1%로, 중소기업은 6.8%에서 6.1%로 악화됐다.
제조업(5.7%에서 5.3%)이 운송장비(4.4%에서 1.0%), 금속제품(6.5%에서 3.6%) 등을 중심으로 하락했지만 비제조업(5.2%에서 5.3%)은 국제 항공화물 운임 상승의 영향을 받은 운수업(4.2%에서 6.4%) 등 일부는 소폭 상승했다.
또 다른 수익성 지표인 매출액세전순이익률은 2019년 2분기 5.4%에서 2020년 2분기 5.2%로 하락했다.
부채비율은 87.0%로 1분기의 88.2%보다 하락했고 차입금의존도는 1분기 25.3%에서 2분기 25.6%로 상승했다. 이자보상비율(영업이익/이자비용)은 495.89%에서 446.95%로 하락했다.
한국은행은 2019년 말 기준으로 외부감사에 관한 법률 적용대상 법인기업 2만914곳 가운데 3862곳을 선정하고 2020년 7월27일-8월28일 표본 조사해 경영실적을 분석했다. (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