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JSR 인수전에 에네오스도 참여 … 제온 포기에 LG화학은 불참
롯데케미칼이 참여한 JSR 엘라스토머(Elastomer) 사업 인수전에 일본 정유 메이저 에네오스(Eneos)도 이름을 올려 주목된다.
JSR은 1957년 국책기업 Japan Synthetic Rubber로 설립돼 2020년 기준 일본 합성고무 생산능력의 30%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최대 메이저이며, 저연비 타이어용 고부가가치제품인 SSBR(Solution Polymerized-Styrene Butadiene Rubber)은 생산능력이 요카이치(Yokkaichi) 6만톤, 타이 10만톤, 헝가리 6만톤으로 총 22만톤에 달하고 있다.
ESBR(Emulsion Styrene Butadiene Rubber)은 요카이치 25만5000톤, BR(Butadiene Rubber)은 치바(Chiba) 7만2000톤, EPDM(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은 가시마(Kashima) 3만6000톤과 국내 금호폴리켐 22만톤, IR(Isoprene Rubber)은 가시마 4만1000톤, 부틸고무(Butyl Rubber)는 가시마 8만톤, 가와사키(Kawasaki) 9만8000톤 플랜트를 가동하고 있다.
하지만, 범용제품 비중이 높아 주요 원료인 부타디엔(Butadiene) 시황에 좌우되기 쉽고 최근 아시아 신흥기업들에 밀려 경쟁력이 약화된 것으로 평가된다.
특히, 2020년에는 코로나19(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사태로 전방산업 수요가 급감하면서 범용제품을 중심으로 수익성이 악화됐고 2019회계연도(2019년 4월-2020년 3월) 영업적자에 이어 2020회계연도에도 적자 탈출에 실패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이에 따라 엘라스토머 사업의 근본적인 구조개혁이 시급하다는 의견이 대두됐고 롯데케미칼을 포함해 국내외 관련기업을 대상으로 매각을 타진하고 있다.
당초 합성고무 생산기업인 제온(Zeon)이 JSR 해외공장을 인수함으로써 침체된 일본사업 만회를 꾀했으나 독점금지법에 저촉될 가능성이 높고 경제성을 고려해 포기한 것으로 알려졌다.
매각 주관사인 IB GCA Advisors가 LG화학에게도 제안했으나 관심을 표명하지 않은 것으로 파악된다.
반면, 롯데케미칼은 높은 인수 의지를 표명하며 경쟁에 임하고 있다.
롯데케미칼은 2013년 이태리 베르살리스(Versalis)와 합작법인 롯데베르살리스엘라스토머스를 설립했으며 2018년 여수 SSBR 10만톤 플랜트와 EPDM 9만6000톤을 상업 가동하며 합성고무 사업에 진출했다.
하지만, 아직 흑자를 기록하지 못하고 있고 JSR 엘라스토머 사업을 인수함으로써 규모화를 통해 수익성 개선을 추진할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JSR은 롯데케미칼에게 인수액으로 1조원을 제시한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최근 인수전 참여 의사를 밝힌 에네오스는 일본 1위, 글로벌 6위의 정유기업이나 중장기적으로 연료유 수요 감소가 불가피하다는 판단 아래 석유화학 사업 전환을 가속화하고 있다.
현재 석유화학 사업에서 올레핀(Olefin)계와 아로마틱(Aromatics)계가 주류를 이루고 있어 JSR 엘라스토머 사업을 인수하면 유도제품 포트폴리오를 확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특히, EPDM의 원료인 ENB(Ethylidene Norbornene)를 생산하고 있어 시너지를 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다만, 에네오스와 JSR 공장 사이의 거리가 상당해 1조원에 달하는 인수액을 투입할 만한 가치가 있는지 고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에네오스는 도쿄(Tokyo) 인근의 가와사키(Kawasaki) 컴플렉스를 가동하고 있고 JSR의 최대 생산기지가 자리한 미에현(Mie) 요카이치에는 컴플렉스가 없는 상태이다.
가와사키와 미에는 350km 이상 떨어져 있어 원료를 파이프라인으로 수송하기 어렵기 때문에 인수 후 수익성을 확보하기 어려운 구조로 평가되고 있다. (강윤화 선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