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시가 자연에서 분해되는 바이오 플래스틱제품 상용화를 추진한다.
울산시는 11월5일 시청 별관 카페에서 생분해성 바이오 플래스틱제품 시연회를 열고 전국 지방자치단체 최초로 플래스틱 컵, 빨대, 포크, 비닐봉지 등 상품화 실증을 진행했다.
시연회에는 송철호 울산시장, 이철위 한국화학연구원 정밀바이오화학연구본부장, 김미진 대인 대표, 한상진 울산환경운동연합 대표 등이 참석했다.
울산시는 생분해성 바이오 플래스틱을 활용한 음료를 만들어 참석자들에게 제공했고, 참석자들은 바이오 플래스틱 사용 활성화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생분해성 바이오 플래스틱제품화 및 실증 사업은 총 297억원을 투입해 2020년 4월 착수했고 2024년 12월 완료할 예정이다. 한국화학연구원이 주관하며 총 9개 관련기업과 6개 대학·연구기관이 참여한다.
사업 내용은 생분해 속도 조절 기술 개발, 생분해성 바이오 플래스틱 필름 제조, 바이오 플래스틱 원재료 생산, 시제품 15종 개발·실증 등이다.
생분해성 바이오 플래스틱은 자연에서 미생물에 의해 완전히 분해돼 물과 이산화탄소로 전환되는 친환경 소재이다.
미세 플래스틱으로 인한 환경문제를 해결하고 이산화탄소와 같은 온실가스를 재사용해 탄소중립을 실현하는 효과가 기대되고 있으나 20개월이 지난 현재까지 뚜렷한 연구개발 성과가 없어 지방재정 낭비가 아닌지 의심되고 있다. (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