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1월 21일 (금)
2022년 5월 16·23일

 

니켈 자원이 풍부한 인도네시아가 아세안(ASEAN)의 전기자동차(EV) 허브로 부상하기 위한 전략을 추진하고 있다.
2022년 생산을 본격화할 계획이며 2025년까지 전체 자동차 생산량에서 전기자동차가 차지하는 비율을 20%로 끌어올리겠다는 목표를 세우고 있다.
전기자동차 생산기업을 대상으로는 세금우대를 중심으로 지원을 강화하는 한편으로 니켈을 포함한 원자재는 현지조달을 의무화하고 있다.
니켈이 전기자동차의 핵심 소재로 부상하고 있는 가운데 중국이 자원화를 강화하고 있어 인도네시아의 일관생산체제 구축 전략이 먹혀들지 주목된다.

 

니켈, 2만달러 이상으로 폭등지세
니켈은 전기자동차용 LiB(리튬이온전지) 양극재의 핵심 소재로 투입되면서 국제가격이 고공행진을 계속하고 있다.
런던금속거래소(LME)에서 거래되는 니켈 현물가격은 2021년 12월31일 톤당 2만828달러(약 2480만원)로 2021년 1월 1만4260달러(약 1697만원)에 비해 46% 급등해 2012년 1월 2만599달러 이후 최고치를 형성했다.
2021년 12월 마지막 주 LME의 니켈 재고량이 10만4446톤으로 감소하는 등 35주 연속 감소세를 이어갔기 때문이다. 4월21일 24만4606톤에 달한 후 계속 줄어들었다.
전문가들은 2022년 니켈 현물가격이 톤당 2만5000달러 수준으로 치솟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세계 니켈 공급량의 25%를 차지하고 있는 인도네시아가 2024년부터 가공하지 않은 광물자원 수출을 금지할 예정이기 때문이다.
최근에는 에너지밀도가 높은 배터리가 요구됨에 따라 니켈, 망간, 코발트 등을 활물질로 사용하는 삼원계 양극재가 주목받고 있으며, 하이니켈(High-Ni)계 수요가 급증하면서 니켈 비율이 80%에 달하는 양극재 적용이 본격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국내 배터리 3사는 원자재 수급난과 코스트 상승으로 이중고를 겪고 있다.
LG에너지솔루션, 삼성SDI, SK온 3사는 2022년 원통형 배터리 공급가격을 10% 정도 인상한 것으로 알려졌다. 원통형 배터리는 전기자동차, 전동공구, 청소기, E-바이크, 전자제품 등에 탑재된다.
테슬라(Tesla), 포드(Ford)에 배터리를 납품하는 중국 BYD는 2021년 11월부터 배터리 공급단가를 일괄적으로 20% 인상한 것으로 파악된다.

 

인도네시아, 니켈자원 바탕 전기자동차 생산 확대
인도네시아는 세계 최대의 니켈 생산국으로 2020년에는 세계 생산량의 30%를 차지해 13%로 2위를 기록한 필리핀을 크게 앞섰다. 
매장량도 세계에서 가장 많아 2050년 세계 생산량의 50% 수준을 차지할 것이라는 의견이 제기되고 있다. 
인도네시아는 니켈을 시작으로 전기자동차 서플라이체인을 구축하기 위해 오래전부터 니켈 고부가가치화에 힘을 기울이고 있으며 광석을 그대로 수출하는 것을 금지하고 있다.
인도네시아 정부는 2019년 8월 전기자동차 생산 촉진에 관한 명령을 발표했으며 2022년 전기자동차 생산을 본격화하고 2025년 이륜‧사륜자동차 생산의 25%를 전기자동차로 전환하겠다는 목표를 세우고 있다.
원자재 현지조달도 의무화하고 있으며 이륜자동차는 2026년 이후, 사륜자동차는 2030년 이후 현지조달 비율을 80%까지 단계적으로 끌어올릴 방침이다.
장기적으로는 니켈부터 전기자동차까지 일관생산체제를 구축하겠다는 목표를 세우고 있다.
2021년 4월에는 국영 광업기업 MIND ID, 니켈 생산기업 Aneka Tambang(ANTAM), 국영 석유기업 페르타미나(Pertamina), 국영 전력기업 PLN이 Indonesia Battery(IBC)를 설립하고 전기자동차 서플라이체인 구축부터 충전 인프라 정비에 이르기까지 다방면에서 협력하는 체제를 확립했다.

 

고품질 니켈 생산기술 확보가 선결과제
인도네시아는 전기자동차 서플라이체인을 완성하기에 앞서 고품질 니켈 생산기술 확보가 요구되고 있다. 
광석, 제련방법에 따라 분류되는 니켈은 품질이 높은 황산니켈, 산화니켈만 양극재 원료로 투입할 수 있으나 인도네시아는 스테인리스 원료인 페로니켈, 니켈선철 등 저품질제품을 중심으로 생산하고 있기 때문이다. 
인도네시아에 풍부한 산화광을 활용해 고품질 니켈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혼합 황화물(MS), 혼합 수산화 침전물(MHP)을 얻을 수 있는 고압산침출법(HPAL) 공장이 필요하나 인도네시아는 기술을 보유하지 않고 있어 해외기술 도입이 불가피한 상태이다. 
양극재를 생산하는 바스프(BASF)는 인도네시아 니켈광산에 대한 권리를 보유하고 있는 프랑스 에라메트(Eramet)와 공동으로 HPAL 및 제련 공장 건설을 검토하고 있으며 니켈 4만2000톤, 코발트 5000톤을 공급받는 방향으로 검토를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바스프는 중국, 일본, 유럽, 미국에 양극재 공급체제를 구축하는 등 적극적으로 투자하고 있고, 특히 NCM(니켈‧코발트‧망간)에 주력하고 있어 경쟁력 있는 니켈의 안정조달이 양극재 사업의 성공을 좌우할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일본 Sumitomo Metal Mining(SMM)은 HPAL에 따라 MS를 생산하는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SMM은 인도네시아를 잇는 니켈 생산국인 필리핀에서 HPAL 플랜트 2기를 가동하고 있는 가운데 인도네시아에도 HPAL에 따른 MS 생산체제를 구축하기로 결정했다.
인도네시아는 풍부한 자원을 보유하고 있음에도 현시점에서 진행되고 있는 제련공장 건설 프로젝트는 5건에 불과한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제련공장 건설에는 막대한 비용이 소요되기 때문이다.
유해폐기물 발생량이 많아 적절한 처리방법 없이는 가동 허가를 받기 어려운 점도 사업화를 어렵게 하는 요인이 되고 있다.
니켈 매장량이 세계 2위인 오스트레일리아도 배터리에 대한 활용을 강화하는 전략을 추진하고 있으며 2021년 BHP 그룹이 처음으로 황산니켈 공장을 가동했다. 오스트레일리아는 니켈 뿐만 아니라 리튬도 칠레와 함께 2대 생산국으로 자리 잡고 있다.

 

중국이 투자를 주도하고 있다!
인도네시아에서는 중국기업들이 배터리용 니켈 생산을 본격화하고 있다.
Harita Group은 2021년 중국 Ningbo Lygend Mining과 합작으로 10억5000만달러를 투입해 인도네시아 최초의 HPAL 제련공장을 가동했다. 2021년 말까지 총 10억5000만달러(약 1조2000억원)를 투자해 MHP를 경유하는 황산니켈 16만톤을 상업화했으며 2022년에는 생산능력을 24만톤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화유코발트(Huayou Cobalt)는 2021년 12월 MHP 시험생산에 성공한 것으로 알려졌다. 차이나 몰리브뎀(China Molybdenum)과 공동으로 추진하고 있으며 MHP 7만톤 상업생산을 목표로 하고 있다. 
중국 배터리 리사이클 메이저 GEM을 중심으로 설립한 QMB New Energy Materials는 HPAL에 따라 MHP를 거쳐 황화니켈을 생산하는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다. QMB New Energy에는 중국 칭산(Tsingshan) 그룹, CATL, 일본 한와흥업(Hanwa) 등이 출자하고 있으며 2022년 7월까지 MHP를 거쳐 황산니켈 13만6000톤을 상업화할 계획이다. 
2021년 4월에는 중국 양극재 전구체 생산기업인 CNGR Advanced Material이 싱가폴기업과 함께 니켈매트 3만톤 공장을 건설할 예정이라고 발표했고 이후 계획 생산능력을 6만톤으로 상향 조정했다.
중국 Chengtun Mining도 싱가폴기업과 니켈매트 4만톤 합작공장을 건설하기 위해 3억5000만달러를 투자하는 계획을 공개한 바 있다.

 

현대자동차, NCMA 배터리 공장 건설
현대자동차는 인도네시아의 움직임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다.
현대자동차그룹은 2021년 7월 LG에너지솔루션과 50대50 합작으로 인도네시아에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셀 생산기업을 설립했다고 발표했다.
11억달러를 투입해 수도 자카르타(Jakarta) 근교의 카라왕(Karawang)에 니켈, 코발트, 망간, 알루미늄을 양극재에 채용한 NCMA 배터리 공장을 건설할 계획이다.
LG에너지솔루션이 개발하고 있는 NCMA 배터리는 양극재의 니켈 비율이 90%에 달해 세계 최대의 니켈 생산국인 인도네시아에 생산체제를 구축함으로써 가격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부지면적은 33만평방미터로 2021년 4분기 착공해 2024년 가동을 시작할 계획이다.
생산능력은 10GWh로 전기자동차 15만대 이상에 투입할 수 있는 수준이며 인도네시아 정부, IBC와 양해각서(MOU)를 체결해 안정가동을 위한 인센티브를 제공받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9월 열린 기공식에 참석한 조코 위도도 인도네시아 대통령은 “앞으로 3-4년 이내에 LiB 등 니켈 베이스 완성제품의 주요 생산국으로 부상할 것으로 믿는다”며 높은 기대감을 나타냈다.
세계 최대의 자동차용 LiB 메이저인 중국 CATL은 ANTAM과 배터리 공장 건설에 관한 MOU를 체결했다. 양사는 총 50억달러를 투입해 2024년 가동을 목표로 LiB 공장을 건설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인도네시아는 장기적으로 2억7000만명 이상에 달하는 인구와 풍부한 니켈 자원을 바탕으로 전기자동차 생산 허브로 부상할 가능성이 있으나 계획대로 진행될지는 의문시되고 있다. (강윤화 선임기자: kyh@chemlocus.com)


표, 그래프: <전기자동차용 원자재의 현지조달비율, 세계 니켈 생산 매장비중(2020), 니켈의 생산흐름>

구독신청
한줄의견
평점 선택
(0 / 500 글자)
관련뉴스
화학뉴스
개인정보취급방침 닫기
주식회사 화학경제연구원(이하 "회사")은 회사가 운영하는 인터넷 사이트(http://www.chemlocus.com, 이하 "켐로커스") 및 책자로 발간되는 "화학저널"을 이용하는 이용자님들의 개인정보를 중요하게 생각하며 아래와 같은 취급방침을 가지고 있습니다. 목 차 1.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목적 2. 개인정보의 보유기간 및 이용기간 3. 개인정보의 파기절차 및 방법 4. 개인정보의 열람 정정 5. 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기술적/관리적 대책 6. 개인정보 자동 수집 장치의 설치/운영 및 거부 7. 개인정보 취급 위탁관리 8. 의견수렴 및 불만처리 9. 개인정보 관리책임자 등 10. 고지의 의무 1.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목적 - 수집하는 개인정보 항목 무료회원 필수: 아이디, 비밀번호, 성명, 회사명, 부서명, 직위명, 관심분야, 이메일 선택: 전화번호, 핸드폰번호, 주소 유료회원 필수: 아이디, 비밀번호, 성명, 회사명, 부서명, 직위명, 관심분야, 이메일, 결제자 정보, 사업자등록 정보, 신용카드정보, 맥어드레스 자동수집항목 : 서비스 이용기록, 접속 로그, 쿠키, 접속 IP 정보 ⦁ 이용목적 켐로커스는 수집한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활용합니다. (1) 성명, 회사명, 부서명, 직위명, 사업자등록정보 - 회원제 서비스 이용에 따른 회원식별, 불량 회원의 부정 이용 방지를 위함 (2) 회원 아이디, 비밀번호, 접속IP정보, 맥어드레스 - 회원 유무의 확인 및 이용자 식별을 위함 (3) 이메일, 전화번호, 휴대폰번호, 팩스번호 - 서비스 이용 후 계약이행에 대한 내용 제공, 결제 진행사항 통보, 이벤트 안내 및 상품 발송, 영수증 및 청구서 송부, 불만처리 등을 위함 (4) 주소 : 서비스 이용에 따른 상품 배송을 위함 (5) 부서명, 직위, 관심분야: 회원의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 및 마케팅에 활용 (6) 결제자 정보, 사업자등록 정보, 신용카드 정보 : 서비스 이용에 따른 결제와 환불처리, 세금계산서 발행, 금융거래 본인 인증 및 금융 서비스를 위함 2. 개인정보의 보유기간 및 이용기간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기간 원칙적으로,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이 달성된 후에는 해당 정보를 지체 없이 파기합니다. 또한 개인정보가 제3자에게 제공된 경우에는 제3자에게도 파기하도록 지시합니다. 단, 다음의 정보에 대해서는 아래의 이유로 명시한 기간 동안 보존합니다. - 보존항목 : 이름, 로그인ID, 비밀번호, 비밀번호 질문과 답변, 휴대전화번호, 이메일, 회사명, 부서, 직책, 회사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서비스 이용기록, 접속 로그, 쿠키, 접속 IP 정보, 결제기록 - 보존근거 : 재가입이나 연장 때 필요 - 보존기간 : 회원가입 시점 후 5년, 탈퇴 및 삭제요청시 즉시 파기 3. 개인정보의 파기절차 및 방법 (1) 파기절차 : 회원님이 회원가입 등을 위해 입력하신 정보는 목적이 달성된 후 별도의 DB로 옮겨져(종이의 경우 별도의 서류함) 내부 방침 및 기타 관련 법령에 의한 정보보호 사유에 따라(보유 및 이용기간 참조) 일정 기간 저장된 후 파기되어집니다. (2) 파기방법 : 전자적 파일형태로 저장된 개인정보는 기록을 재생할 수 없는 기술적 방법을 사용하여 삭제합니다. 4. 개인정보의 열람 정정 회원은 언제든지 등록되어 있는 회원의 개인정보를 열람하거나 정정하실 수 있습니다. 회원의 개인정보에 대한 열람 또는 정정을 하고자 할 경우에는 『마이페이지 > 회원정보관리』를 클릭하여 본인 확인 절차를 거치신 후 직접 열람 또는 정정하거나, chemj@chemlocus.com, 02-6124-6660~8 내선 202로 연락하시면 지체 없이 조치하겠습니다. 회원이 개인정보의 오류에 대한 정정을 요청하신 경우에는 정정을 완료하기 전까지 당해 개인정보를 이용 또는 제공하지 않습니다. 또한 잘못된 개인정보를 제3자에게 이미 제공한 경우에는 정정 처리결과를 제3자에게 지체 없이 통지하여 정정이 이루어지도록 조치하겠습니다. 단, 다음의 경우에는 개인정보의 열람 및 정정을 제한할 수 있습니다. - 본인 또는 제3자의 생명, 신체, 재산 또는 권익을 현저하게 해할 우려가 있는 경우 - 당해 서비스제공자의 업무에 현저한 지장을 미칠 우려가 있는 경우 - 법령에 위반하는 경우 등 5. 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기술적/관리적 대책 "켐로커스"는 이용자의 개인정보를 취급함에 있어 개인정보가 분실, 도난, 누출, 변조, 또는 훼손되지 않도록 안전성 확보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기술적 대책을 강구하고 있습니다. 1) 이용자의 비밀번호는 암호화되어 저장되고 본인 이외의 다른 사람이 확인할 수 없도록 하는 기능을 적용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용자의 비밀번호는 공공장소에서의 인터넷사용 등 여러 방법으로 타인에게 알려질 가능성이 높으므로 이의 보호를 철저히 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하겠습니다. 그러므로 이용자께서도 개인의 정보를 타인에게 유출시키거나 제공하여서는 아니 되며, 자신의 개인정보를 책임 있게 관리하여야 합니다. 이러한 비밀번호 등의 유출에 대해서는 "켐로커스"는 어떠한 책임도 지지 않습니다. 2) 이용자의 파일 및 전송 데이터, 계좌번호, 이용자 식별 정보 등의 중요한 데이터는 암호화하여 별도의 보안기능을 통해 보호하고 있습니다. 6. 개인정보 자동 수집 장치의 설치/운영 및 거부 "켐로커스"는 이용자에게 다양하고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이용자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수시로 찾아내는 쿠키를 사용합니다. 쿠키란 웹사이트서버가 사용자의 컴퓨터 브라우저에게 전송하는 소량의 정보입니다. 쿠키는 이용자의 컴퓨터는 식별하지만 이용자를 개인적으로 식별하지는 않습니다. 또한 이용자는 쿠키에 대한 선택권이 있습니다. 이용자의 웹브라우저를 조정함으로써 모든 쿠키를 다 받아들이거나, 쿠키가 설치될 때 통지를 보내도록 하거나, 아니면 모든 쿠키를 거부할 수 있습니다. 다만 쿠키의 저장을 거부하는 경우에는 "켐로커스"에서 로그인이 필요한 일부 서비스는 이용하실 수 없습니다. 7. 개인정보 취급 위탁관리 "켐로커스"는 원활하고 편리한 서비스를 위하여, 최소한의 제한된 범위에서 개인정보를 위탁 관리하고 있습니다. 보유 및 이용기간은 회원 탈퇴 및 위탁 계약 만료 시까지이며 위탁 계약 시 개인정보가 안전하게 관리 될 수 있도록 관련 사항들을 별도로 규정하고 있습니다.
수탁사수탁 업무 및 목적보유 및 이용기간
미래 이포스트상품 배송
서비스 목적 달성시 또는 관계법령에 따른 보존기한까지
LG U+구독 신청에 필요한 신용카드, 현금결제 등의 결제 대행
홈페이지코리아전산시스템 운영 및 유지보수
8. 의견수렴 및 불만처리 켐로커스는 개인정보 보호와 관련한 회원님들의 의견과 불만을 제기할 수 있도록 고객센터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개인정보 관리책임자에게 의견을 주시면 접수 후 최대한 빠른 시일 안에 조치하여 처리 결과를 통보해드립니다. 회원님과 켐로커스가 개인정보 보호와 관련하여 분쟁이 발생한 경우 정부에서 운영중인 개인정보 침해신고센터 (www.cyberprivacy.or.kr)에 그 처리를 의뢰하실 수 있습니다. 개인정보 침해 신고센터 (http://www.cyberprivacy.or.kr/1336) 개인정보 침해 신고센터 (http://www.cyberprivacy.or.kr/1336) 대검찰청 인터넷 범죄수사센터 (http://icic.sppo.go.kr/02-3480-3600) 경찰청 사이버테러 대응센터 (http://www.ctrc.go.kr/1566-0112) 9. 개인정보 관리책임자 등 "켐로커스"는 개인정보 관리책임자를 지정하여 이용자들의 개인정보에 관련한 업무를 담당하고 있습니다. 이용자께서 "켐로커스"에 개인정보와 관련한 문의, 의견, 불만을 제기하고자 하실 경우에는 아래 개인정보 관리책임자에게 연락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개인정보 관리 책임자 : 서경선 상무 sks@chemlocus.com 10. 고지의 의무 현 개인정보 취급 방침은 2016년 1월 4일부터 시행합니다. 또한, 개인정보취급방침에 변경공고일자 및 그 시행일자 등을 부여하여 개정여부를 쉽게 알 수 있도록 하고 있습니다. 개인정보 취급방침 변경 공고 일자 : 2015년 12월 28일 개인정보 취급방침 시행일자 : 2016년 1월 4일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닫기

본 웹사이트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게시일 2011년 2월1일]

개인정보취급방침 닫기
수집하는 개인정보 항목 성명, 회사명, 부서, 직위, 전화번호, 핸드폰번호, 팩스, 이메일, 홈페이지주소
자동수집항목 : 서비스 이용기록, 접속 로그, 쿠키, 접속 IP 정보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 켐로커스는 수집한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활용합니다.
(1) 성명, 회사명 - 회원제 서비스 이용에 따른 회원식별,
불량 회원의 부정 이용 방지를 위함
(2) 부서명/직위 : 회원의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 및 마케팅에 활용
(3) 이메일, 홈페이지 주소, 팩스, 전화번호, 휴대폰번호 - 서비스 이용 후 계약이행에 대한
내용 제공, 결제 진행사항 통보, 영수증 및 청구서 송부, 불만처리 등을 위함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기간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이 달성된 후 지체없이 파기
개인정보취급방침 닫기
<기사제보>
수집하는 개인정보 항목 성명, 이메일
자동수집항목 : 서비스 이용기록, 접속 로그, 쿠키, 접속 IP 정보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 출처 신뢰성 확인, 분쟁시 증빙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기간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이 달성된 후 지체없이 파기
개인정보취급방침 닫기
<기사제보>
수집하는 개인정보 항목 성명, 이메일
자동수집항목 : 서비스 이용기록, 접속 로그, 쿠키, 접속 IP 정보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 출처 신뢰성 확인, 분쟁시 증빙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기간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이 달성된 후 지체없이 파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