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유화학산업은 글로벌 경쟁력을 갖추기 위한 탄소중립 전략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상공회의소는 8월31일 서울상공회의소에서 2050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 한국석유화학협회(KPIA)와 함께 석유화학산업 미래전략 토론회를 개최하고 글로벌 트렌드와 국내 산업 발전 방향 등을 논의했다.
새로운 탄소중립 해법을 찾기 위해 정부·산업계·학계를 비롯한 국내 석유화학산업 전 분야의 관련기업들이 대거 참여한 가운데 토론에서는 세계 석유화학산업의 미래 발전 방향과 투자 전략을 확인하고 바스프(BASF)의 사례를 통해 글로벌 탄소중립 목표와 추진 방향을 검토한 것으로 알려졌다.
김상협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 위원장은 “한국은 탁월한 제조기술과 규모의 경제 효과를 활용해 세계적인 석유화학 수출 강국으로 자리잡았다”며 “화학 산업계가 지속가능한 미래를 준비하기 위해서는 탄소중립을 기회로 반전시키며 새 모멘텀을 찾아 혁신 성장을 모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참가자들은 국내 석유화학 관련 정책과 기술 개발 추진 방향에 대해 석유화학산업이 탄소중립을 달성하려면 혁신기술 개발 및 대규모 투자를 위한 정부의 전폭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백진영 보스턴컨설팅그룹(BCG) 파트너는 석유화학산업의 미래를 결정할 주요 트렌드로 지속가능성, 공급 원료의 변화, 가치 제고, 규제 당국의 개입을 제시하고 미래 투자를 고려해야 하는 5대 기술영역으로 AI(인공지능), 멤브레인, 이산화탄소(CO2)의 올레핀(Olefin) 전환, 플랜트 전기화, 바이오 원료를 선정했다.
정지민 한국바스프 상무는 “바스프는 2030년까지 온실가스 2018년 대비 25% 감축 및 2050년 탄소중립 목표를 수립하고 스코프3 배출량까지 관리하기 위해 선도적인 시스템을 구축했다”고 설명했다.
이상준 서울과학기술대 교수는 “석유화학산업은 철강의 수소환원제철 기술과 같은 탄소중립을 위한 지배적 기술이 없기 때문에 복수의 대안에서 성공적인 대안을 찾는 단계적 투자 전략이 필요하다”며 “무탄소 에너지, 이산화탄소 포집‧이용·저장(CCUS), 순환경제 등과 연계한 융합적 접근이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윤우성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