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유정제]
OPEC, 국제유가 고민 "심각하다"

  과거 30년간 OPEC의 유가와 생산에 관한 전략은 주로 2가지 관점 즉, 원유가격을 올리기 위해
  생산을 규제할 것인가와 시장점유율 확보를 위해 적정 수준의 가격정책을 추구해야 하는가의
  양대 논리에 지배돼왔다.
  OPEC은 목표가격과 회원국들의 쿼터물량 증가 사이에서 타협을 시도한 결과 원유가격 하락으로
  원유수출 대금이 폭락하는 결과만을 가져왔다고 보고 있다. OPEC은 전반적으로 1980년대 이후
  오랜 기간동안 누적돼온 공급 과잉으로 원유가격의 하락과 OPEC 회원국의 수입 악화로 점철돼
  왔다고 주장한다.
  OPEC 석유수출국들은 1980년대 중반에도 원유가 폭락으로 인한 저가 수출로 심각한 재정적 어
  려움을 겪은 바 있다. 특히, 1986년 유가 폭락으로 인한 석유시장의 붕괘는 OPEC 회원국 중 일
  부 국가의 증산으로 발생했다고 주장하고 있다.
  그 결과 1982년 배럴당 32.58달러였던 유가가 1983년-85년 27-29달러로 떨어졌고, 1986년에는
  OPEC 평균가격이 배럴당 13.53달러로 추락하는 사태까지 이르렀다.
  석유수출국은 가격이 떨어진 만큼 수출물량을 2배 가까이 늘렸지만 줄어든 수입을 상쇄시킬 수
  는 없었다. OPEC 석유수출액 감소의 주된 원인은 원유의 평균 수출단가의 하락인 것으로 분석
  됐다. OPEC의 수출단가는 1973년 불변가격 기준 1985년에 배럴당 15.98달러에서 1999년에는 5.
  09달러로 15년동안 1/3 수준으로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IEA 통계자료「Energy Price and Taxes」를 근거로 산출한 바에 따르면, 1999년 OPEC Basket
  평균가격은 배럴당 17.47달러인 반면, 석유제품의 가중 복합가격은 미국에서 배럴당 43.90달러
  이고 OECD 평균가격은 배럴당 76.60달러, EU 평균가격은 95.10달러였다.
  선진국 가운데 영국이 배럴당 141.50달러로 최고 수준을, 프랑스가 102.90달러로 그 다음을 차
  지했다. 원유가격과 석유제품 소비자가격 사이의 큰 차이는 대부분 수입국 정부에서 부과하는
  다양한 종류의 조세 때문이다.
  EU는 1999년 석유제품에 대한 세금은 최종 소비자가격의 약 68%를 차지하고 있고, 정제 및 유
  통부분과 원유 수입부분이 각각 16%씩 차지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OECD 전체로 보면, 소비자
  가격의 48%가 세금이고 22%가 수입 원유의 몫이며, 나머지 30%가 정제 및 유통부문의 몫으로
  구성된다.
  유가 변화와 OPEC의 석유수출
  (단위 : 달러/Bbl, 100만달러)
  ============================================================
  OPEC 수출액
  구 분 명목유가 실질유가* ---------------------------
  명목금액 불변금액**
  ------------------------------------------------------------
  1973 3.07 3.05 n.a -
  1974 10.73 9.82 119,823 119,823
  1979 17.25 9.46 202,032 129,312
  1980 28.64 13.91 279,309 158,368
  1981 32.51 16.91 257,424 152,783
  1985 27.01 15.18 128,922 85,387
  1986 13.53 6.02 75,027 43,292
  1990 22.26 7.05 147,058 67,211
  1997 18.68 5.42 165,998 81,900
  1998 12.28 3.57 110,140 53,100
  1999 17.47 5.09 151,200p 74,300
  ==========================================================
  * 1973=100 기준
  ** 1974년 기준
  자료) Arab Oil & Gas, OPEC Statistical Bulletin
  석유수출국들은 선진국들이 석유제품 소비자가격에 대해 배럴당 36.40달러를 각종 세금으로 징
  수하고 있어 수출국 몫의 2배에 해당되는 폭리를 취하고 있다고 비난하고 있다. 더구나 EU는
  원유가격의 무려 3.7배에 해당되는 세금을 소비자 가격에 부과하고 있다.
  결국 석유제품 가격에서 석유수출국에 돌아오는 몫의 비중은 1970년대보다 크게 줄어든 반면,
  소비국 정부가 조세로 거두어들이는 세금의 비중은 크게 확대됐다. 서유럽 OECD 국가에서 석
  유제품 가격의 원유가격 비중은 1984년 48%에서 1993년 19%로 줄어들었고, EU 전체로는 1999년
  16%로 줄어들었다. 그러나 조세비중은 1984년 35%에서 1993년 61%로, 1999년에는 68%로 증가
  했다.
  가격구조가 변화한 것은 선진국들이 1985-86년 유가 폭락시기 이후 유가 하락으로 늘어나는 석
  유 소비를 억제하기 위한 방안으로 석유제품 가격에 대한 세금을 올렸기 때문이다. 전반적으로
  세금의 증가는 원유가격 하락률보다 빠르게 이루어졌다. 결과적으로 제품가격의 원유 비중 하
  락은 원유가 변동으로 인한 수입국의 경제적 영향을 감소시켰다.
  최근 원유가격 급등이 1970년대와 같은 유가파동으로 이어질지 모른다는 우려가 일부에서 제기
  되기도 했다. 원유가격의 단기 급등으로 인해 배럴당 30달러 이상의 고유가가 이어지면 인프레
  이션으로 인한 경기후퇴와 세계경제 성장 둔화 또는 침체가 초래될 것이라는 우려였으나 실제
  로 발생하지는 않았다.
  중요한 사실은 그동안 세계 교역에서 석유가 차지하는 비중이 크게 줄어들었다는 것이다. 1973
  년 1차 오일쇼크 이후 명목가치로 평가한 세계 수출규모는 1974년 8300억달러에서 1998년에는
  5조5000억달러로 약 7배 가량 증가했다. 석유 수출은 1634억달러에서 2281억달러로 약 40% 정
  도 증가하는데 그쳤다.
  결과적으로 세계 교역에서 석유가 차지하는 비중은 1974년 19.6%에서 1998년 불과 4.2%로 크게
  줄어들었다. 특히, 석유 수출에 대한 OPEC의 점유율은 불과 2% 수준에 그치고 있다.
  세계교역의 석유점유율 (단위: 10억달러, %)
  =============================================================
  1974 1981 1998
  -------------------------------------------------------------
  세계수출액 829.1 1,924.2 5,444.9
  석유수출액 163.4 448.6 228.1
  OPEC 석유수출 119.8 261.1 110.1
  석유수출/세계수출 19.6 23.3 4.2
  OPEC 석유수출/세계수출 14.4 13.5 2.0
  =============================================================
  자료) IMF, International Financial Statistics Yearbook, 1998
  유가가 폭락하기 직전인 1997년의 OPEC의 석유 수출액은 1615억달러로 미국 총 수출액의 23.4%
  , 독일의 31.5%, 일본의 38.4%에 불과한 수준이었다. 또 OPEC의 1인당 GDP 수준도 1285달러로
  서유럽과 일본의 1인당 GDP의 1/10에도 미치지 못하는 수준이다.
  세계경제에 대한 석유의 영향력 하락을 설명해주는 또다른 요인은 산업별 부가가치 비중에서
  서비스부문의 증대를 들 수 있다.
  미국은 GDP 가운데 연료 비중이 큰 제조업의 점유율이 1977년 22%에서 1997년에는 17%로 줄어
  들었다. 미국의 에너지산업에서 에너지원단위도 줄어들고 있다. 기술진보와 생산성 향상 및
  규제 완화, 경제 자유화 등이 에너지소비 감소와 소비효율 향상에 결정적 요인으로 작용해왔다
  . 미국 에너지부에 따르면, GDP에서 석유소비지출은 1981년 8.1%에서 1998년 3%로 줄어들었다
  .
  따라서 원유 가격이 급증해도 세계경제가 과거와 같은 극심한 경기침체를 겪지 않고 있는 것으
  로 분석되고 있다. OPEC은 1999년 아시아 경제의 빠른 회복에도 불구하고 석유 가격의 급등이
  수입국에서 소비자가격에 단지 작은 영향만을 끼쳤을 뿐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1999년 2배가 넘는 유가상승에도 불구하고 1970년대 석유파동의 악몽을 되살리는 상황은 특별
  히 표출되지 않았다. 그만큼 석유 가격이 세계무역이나 세계경제에 미치는 영향력이 줄어들었
  기 때문이다.
  <Chemical Daily News 2001/10/16>
한줄의견
평점 선택
(0 / 500 글자)
관련뉴스
화학뉴스
화학뉴스 목록 - 화학뉴스목록으로 번호, 제목, 작성자, 조회를 나타내는 테이블입니다.
제목 날짜 첨부 스크랩
[국제유가] 국제유가, 상호관세 완화 “급등” 2025-05-09  
[국제유가] 국제유가, 미국-중국 갈등 “하락” 2025-05-08  
[국제유가] 국제유가, 미국 셰일 감산 “급등” 2025-05-07  
[국제유가] 국제유가, 이란 추가제재 “상승” 2025-05-02  
[국제유가] 국제유가, 경기 침체 우려 “급락” 2025-04-30  

개인정보취급방침 닫기
주식회사 화학경제연구원(이하 "회사")은 회사가 운영하는 인터넷 사이트(http://www.chemlocus.com, 이하 "켐로커스") 및 책자로 발간되는 "화학저널"을 이용하는 이용자님들의 개인정보를 중요하게 생각하며 아래와 같은 취급방침을 가지고 있습니다. 목 차 1.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목적 2. 개인정보의 보유기간 및 이용기간 3. 개인정보의 파기절차 및 방법 4. 개인정보의 열람 정정 5. 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기술적/관리적 대책 6. 개인정보 자동 수집 장치의 설치/운영 및 거부 7. 개인정보 취급 위탁관리 8. 의견수렴 및 불만처리 9. 개인정보 관리책임자 등 10. 고지의 의무 1.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목적 - 수집하는 개인정보 항목 무료회원 필수: 아이디, 비밀번호, 성명, 회사명, 부서명, 직위명, 관심분야, 이메일 선택: 전화번호, 핸드폰번호, 주소 유료회원 필수: 아이디, 비밀번호, 성명, 회사명, 부서명, 직위명, 관심분야, 이메일, 결제자 정보, 사업자등록 정보, 신용카드정보, 맥어드레스 자동수집항목 : 서비스 이용기록, 접속 로그, 쿠키, 접속 IP 정보 ⦁ 이용목적 켐로커스는 수집한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활용합니다. (1) 성명, 회사명, 부서명, 직위명, 사업자등록정보 - 회원제 서비스 이용에 따른 회원식별, 불량 회원의 부정 이용 방지를 위함 (2) 회원 아이디, 비밀번호, 접속IP정보, 맥어드레스 - 회원 유무의 확인 및 이용자 식별을 위함 (3) 이메일, 전화번호, 휴대폰번호, 팩스번호 - 서비스 이용 후 계약이행에 대한 내용 제공, 결제 진행사항 통보, 이벤트 안내 및 상품 발송, 영수증 및 청구서 송부, 불만처리 등을 위함 (4) 주소 : 서비스 이용에 따른 상품 배송을 위함 (5) 부서명, 직위, 관심분야: 회원의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 및 마케팅에 활용 (6) 결제자 정보, 사업자등록 정보, 신용카드 정보 : 서비스 이용에 따른 결제와 환불처리, 세금계산서 발행, 금융거래 본인 인증 및 금융 서비스를 위함 2. 개인정보의 보유기간 및 이용기간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기간 원칙적으로,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이 달성된 후에는 해당 정보를 지체 없이 파기합니다. 또한 개인정보가 제3자에게 제공된 경우에는 제3자에게도 파기하도록 지시합니다. 단, 다음의 정보에 대해서는 아래의 이유로 명시한 기간 동안 보존합니다. - 보존항목 : 이름, 로그인ID, 비밀번호, 비밀번호 질문과 답변, 휴대전화번호, 이메일, 회사명, 부서, 직책, 회사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서비스 이용기록, 접속 로그, 쿠키, 접속 IP 정보, 결제기록 - 보존근거 : 재가입이나 연장 때 필요 - 보존기간 : 회원가입 시점 후 5년, 탈퇴 및 삭제요청시 즉시 파기 3. 개인정보의 파기절차 및 방법 (1) 파기절차 : 회원님이 회원가입 등을 위해 입력하신 정보는 목적이 달성된 후 별도의 DB로 옮겨져(종이의 경우 별도의 서류함) 내부 방침 및 기타 관련 법령에 의한 정보보호 사유에 따라(보유 및 이용기간 참조) 일정 기간 저장된 후 파기되어집니다. (2) 파기방법 : 전자적 파일형태로 저장된 개인정보는 기록을 재생할 수 없는 기술적 방법을 사용하여 삭제합니다. 4. 개인정보의 열람 정정 회원은 언제든지 등록되어 있는 회원의 개인정보를 열람하거나 정정하실 수 있습니다. 회원의 개인정보에 대한 열람 또는 정정을 하고자 할 경우에는 『마이페이지 > 회원정보관리』를 클릭하여 본인 확인 절차를 거치신 후 직접 열람 또는 정정하거나, chemj@chemlocus.com, 02-6124-6660~8 내선 202로 연락하시면 지체 없이 조치하겠습니다. 회원이 개인정보의 오류에 대한 정정을 요청하신 경우에는 정정을 완료하기 전까지 당해 개인정보를 이용 또는 제공하지 않습니다. 또한 잘못된 개인정보를 제3자에게 이미 제공한 경우에는 정정 처리결과를 제3자에게 지체 없이 통지하여 정정이 이루어지도록 조치하겠습니다. 단, 다음의 경우에는 개인정보의 열람 및 정정을 제한할 수 있습니다. - 본인 또는 제3자의 생명, 신체, 재산 또는 권익을 현저하게 해할 우려가 있는 경우 - 당해 서비스제공자의 업무에 현저한 지장을 미칠 우려가 있는 경우 - 법령에 위반하는 경우 등 5. 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기술적/관리적 대책 "켐로커스"는 이용자의 개인정보를 취급함에 있어 개인정보가 분실, 도난, 누출, 변조, 또는 훼손되지 않도록 안전성 확보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기술적 대책을 강구하고 있습니다. 1) 이용자의 비밀번호는 암호화되어 저장되고 본인 이외의 다른 사람이 확인할 수 없도록 하는 기능을 적용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용자의 비밀번호는 공공장소에서의 인터넷사용 등 여러 방법으로 타인에게 알려질 가능성이 높으므로 이의 보호를 철저히 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하겠습니다. 그러므로 이용자께서도 개인의 정보를 타인에게 유출시키거나 제공하여서는 아니 되며, 자신의 개인정보를 책임 있게 관리하여야 합니다. 이러한 비밀번호 등의 유출에 대해서는 "켐로커스"는 어떠한 책임도 지지 않습니다. 2) 이용자의 파일 및 전송 데이터, 계좌번호, 이용자 식별 정보 등의 중요한 데이터는 암호화하여 별도의 보안기능을 통해 보호하고 있습니다. 6. 개인정보 자동 수집 장치의 설치/운영 및 거부 "켐로커스"는 이용자에게 다양하고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이용자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수시로 찾아내는 쿠키를 사용합니다. 쿠키란 웹사이트서버가 사용자의 컴퓨터 브라우저에게 전송하는 소량의 정보입니다. 쿠키는 이용자의 컴퓨터는 식별하지만 이용자를 개인적으로 식별하지는 않습니다. 또한 이용자는 쿠키에 대한 선택권이 있습니다. 이용자의 웹브라우저를 조정함으로써 모든 쿠키를 다 받아들이거나, 쿠키가 설치될 때 통지를 보내도록 하거나, 아니면 모든 쿠키를 거부할 수 있습니다. 다만 쿠키의 저장을 거부하는 경우에는 "켐로커스"에서 로그인이 필요한 일부 서비스는 이용하실 수 없습니다. 7. 개인정보 취급 위탁관리 "켐로커스"는 원활하고 편리한 서비스를 위하여, 최소한의 제한된 범위에서 개인정보를 위탁 관리하고 있습니다. 보유 및 이용기간은 회원 탈퇴 및 위탁 계약 만료 시까지이며 위탁 계약 시 개인정보가 안전하게 관리 될 수 있도록 관련 사항들을 별도로 규정하고 있습니다.
수탁사수탁 업무 및 목적보유 및 이용기간
미래 이포스트상품 배송
서비스 목적 달성시 또는 관계법령에 따른 보존기한까지
LG U+구독 신청에 필요한 신용카드, 현금결제 등의 결제 대행
홈페이지코리아전산시스템 운영 및 유지보수
8. 의견수렴 및 불만처리 켐로커스는 개인정보 보호와 관련한 회원님들의 의견과 불만을 제기할 수 있도록 고객센터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개인정보 관리책임자에게 의견을 주시면 접수 후 최대한 빠른 시일 안에 조치하여 처리 결과를 통보해드립니다. 회원님과 켐로커스가 개인정보 보호와 관련하여 분쟁이 발생한 경우 정부에서 운영중인 개인정보 침해신고센터 (www.cyberprivacy.or.kr)에 그 처리를 의뢰하실 수 있습니다. 개인정보 침해 신고센터 (http://www.cyberprivacy.or.kr/1336) 개인정보 침해 신고센터 (http://www.cyberprivacy.or.kr/1336) 대검찰청 인터넷 범죄수사센터 (http://icic.sppo.go.kr/02-3480-3600) 경찰청 사이버테러 대응센터 (http://www.ctrc.go.kr/1566-0112) 9. 개인정보 관리책임자 등 "켐로커스"는 개인정보 관리책임자를 지정하여 이용자들의 개인정보에 관련한 업무를 담당하고 있습니다. 이용자께서 "켐로커스"에 개인정보와 관련한 문의, 의견, 불만을 제기하고자 하실 경우에는 아래 개인정보 관리책임자에게 연락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개인정보 관리 책임자 : 서경선 상무 sks@chemlocus.com 10. 고지의 의무 현 개인정보 취급 방침은 2016년 1월 4일부터 시행합니다. 또한, 개인정보취급방침에 변경공고일자 및 그 시행일자 등을 부여하여 개정여부를 쉽게 알 수 있도록 하고 있습니다. 개인정보 취급방침 변경 공고 일자 : 2015년 12월 28일 개인정보 취급방침 시행일자 : 2016년 1월 4일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닫기

본 웹사이트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게시일 2011년 2월1일]

개인정보취급방침 닫기
수집하는 개인정보 항목 성명, 회사명, 부서, 직위, 전화번호, 핸드폰번호, 팩스, 이메일, 홈페이지주소
자동수집항목 : 서비스 이용기록, 접속 로그, 쿠키, 접속 IP 정보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 켐로커스는 수집한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활용합니다.
(1) 성명, 회사명 - 회원제 서비스 이용에 따른 회원식별,
불량 회원의 부정 이용 방지를 위함
(2) 부서명/직위 : 회원의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 및 마케팅에 활용
(3) 이메일, 홈페이지 주소, 팩스, 전화번호, 휴대폰번호 - 서비스 이용 후 계약이행에 대한
내용 제공, 결제 진행사항 통보, 영수증 및 청구서 송부, 불만처리 등을 위함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기간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이 달성된 후 지체없이 파기
개인정보취급방침 닫기
<기사제보>
수집하는 개인정보 항목 성명, 이메일
자동수집항목 : 서비스 이용기록, 접속 로그, 쿠키, 접속 IP 정보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 출처 신뢰성 확인, 분쟁시 증빙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기간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이 달성된 후 지체없이 파기
개인정보취급방침 닫기
<기사제보>
수집하는 개인정보 항목 성명, 이메일
자동수집항목 : 서비스 이용기록, 접속 로그, 쿠키, 접속 IP 정보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 출처 신뢰성 확인, 분쟁시 증빙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기간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이 달성된 후 지체없이 파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