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현장 실무자를 대상으로 한 선진 청정생산 평가기법 교육이 상공회의소에서 3월4일부터 3월8일까지 1주일 동안 진행됐다. 청정생산 교육은 2001년 5월 산업자원부와 UNIDO(United Nations Industrial Development Organization)가 협정을 체결한 공동시범사업 중 처음 실시되는 사업으로 선진 청정기술 전파를 위해 IVAM Environmental Research 전문가가 방한해 교육을 실시했다. IVAM Environmental Research는 1993년 암스텔담 대학의 부설연구소로 설립돼 정부, 민간기업 및 국제기구들과 공동으로 환경관련 프로젝트들을 수행하고 있는 전문기관으로 청정생산 분야에서는 세계 최고의 기관으로 알려져 있다. 산자부와 공동으로 사업을 추진중인 UNIDO의 요청으로 연구소가 참여하게 됐으며 청정생산의 평가분야의 세계적인 컨설턴트인 Franciscus Verspeek씨가 강사로 교육을 실시했다. 청정 생산기술 교육은 2001년 5월 산자부와 UNIDO가 체결한 공동사업으로 2001년부터 3년간 총 69만달러를 투자하게 되며, 기존 전통산업의 청정화를 촉진하기 위해 국내 산업계를 대상으로 시범사업, 전문인력 양성, 정보교류 등 5개의 프로젝트에 사용될 예정이다. 1차 사업은 국내 현장 실무자를 대상으로 청정생산평가에 대한 교육으로, 청정 생산 시스템을 도입하기 위해 생산공정에서 환경오염물질이나 에너지 사용이 많은 공정을 분석하는 기법을 중심으로 실시한다. 청정생산은 경제성장과 환경보전이 조화된 지속가능한 발전(Sustainable Development)을 위한 실천방안으로 UN을 중심으로 제기됐으며 제품을 설계 생산하는 초기단계에서 오염물질 발생을 원천적으로 제거 저감할 수 있는 기술 및 방안이다. 대표적인 기술은 습식도금 공정을 건식공정으로 교체해 폐수발생을 원천적으로 방지하는 방법으로 오염물질 발생 후 처리하는 사후처리(End-of-pipe) 개념의 일반환경기술과 다른 '사전 예방적 생산기술'로 기업의 폐기물 처리비용 등 환경비용을 절감하고, 투자비를 회수 할 수 있는 경제적인 기술이다. 현재 Dow Chemical, DuPont, IBM, Toyota 등 많은 선진기업들이 도입해 경제적 성과를 거두고 있으며 21세기 환경문제를 극복할 수 있는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청정생산은 1980년대 이후 기후변화협약 등 200개가 넘는 각종 국제환경협약이 체결해 비관세 무역 장벽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수출시장에서 환경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청정생산 도입이 필요한 상황이다. 또 제한된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해 지속적인 성장을 하기 위해서는 청정기술의 도입이 필수사항이 되고 있다. 1992년 세계 정상들이 리우환경선언을 통해 환경보전과 경제성장을 동시에 실현할 수 있는 Win-Win 전략으로 "청정생산" 도입을 권고한 이후 선진국 기업은 우수한 기술들을 많이 보유하거나 개발중이나 우리나라는 아직 청정생산에 대한 인식이 확산되지 못하고 기술력도 미흡한 실정이다. 산업자원부는 청정 생산기술 교육사업을 통해 선진국의 청정생산 적용기법 및 기술인력을 국내 산업현장에 접목할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Chemical Daily News 2002/03/12>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환경] 기후변화, 선진국‧개도국 충돌한다! | 2023-01-20 | ||
[화학물류] 애경케미칼, 선진 물류 시스템 도입 | 2022-04-21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환경] 환경규제, 선진국-개도국 대결 한계 | 2025-02-14 | ||
[환경] GX, 선진국 따라잡기 막막하다! | 2025-01-17 | ||
[농화학] 바스프의 농업솔루션 전략, 디지털 기술을 앞세워 농업 선진화 시장 장악 | 2020-06-19 |
수탁사 | 수탁 업무 및 목적 | 보유 및 이용기간 |
---|---|---|
미래 이포스트 | 상품 배송 | 서비스 목적 달성시 또는 관계법령에 따른 보존기한까지 |
LG U+ | 구독 신청에 필요한 신용카드, 현금결제 등의 결제 대행 | |
홈페이지코리아 | 전산시스템 운영 및 유지보수 |
수집하는 개인정보 항목 |
성명, 회사명, 부서, 직위, 전화번호, 핸드폰번호, 팩스, 이메일, 홈페이지주소 자동수집항목 : 서비스 이용기록, 접속 로그, 쿠키, 접속 IP 정보 |
---|---|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 |
켐로커스는 수집한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활용합니다. (1) 성명, 회사명 - 회원제 서비스 이용에 따른 회원식별, 불량 회원의 부정 이용 방지를 위함 (2) 부서명/직위 : 회원의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 및 마케팅에 활용 (3) 이메일, 홈페이지 주소, 팩스, 전화번호, 휴대폰번호 - 서비스 이용 후 계약이행에 대한 내용 제공, 결제 진행사항 통보, 영수증 및 청구서 송부, 불만처리 등을 위함 |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기간 |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이 달성된 후 지체없이 파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