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ineChem의 미래
|
Food & Drug Administration(FDA)으로부터 승인을 받은 New Chemical Entities의 수가 1997년 57개로 정점에 오른 뒤 2000년 26개, 2001년 상반기에는 9개로 감소했다. 더군다나 신약에서 제한적이고 첨단화된 생산능력을 필요로 하는 「고활성 제약성분」의 범주에 들거나 전혀 다른 플랜트를 필요로 하는 Biopharmaceuticals의 비중이 커지고 있다. 또 정밀화학산업이 주문생산에 들이는 것에 비해 제약산업이 자가소비 약품 생산을 위한 생산능력 확대에 더 많이 투자하고 있다. 제약산업의 투자규모가 30억달러를 넘어서는 반면, 정밀화학은 1억달러 미만이다. 2002년 상반기 가동을 목표로 하고 있는 신규 프로젝트는 Dynamic Synthesis의 스위스 Pratteln 소재 cGMP 신규 플랜트(7500만달러), Bayer-Novochem의 스위스 Murcia 소재 신규 다목적 플랜트(2500만달러), CU Uetikon의 독일 Lahr 소재 플랜트 증설 프로젝트(2000만달러) 등이 있다. 표, 그래프 | 제약·정밀화학기업의 화학 프로젝트 현황 | 제약·정밀화학기업의 바이오의약 프로젝트 현황 | <화학저널 2002/6/3> |
한줄의견
관련뉴스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퍼스널케어] 바스프, 미래 퍼스널케어 솔루션 공개 | 2025-11-06 | ||
| [EP/컴파운딩] 엔발리오, 고기능 EP로 미래형 자동차 공략 | 2025-10-31 | ||
| [플래스틱] 한화첨단소재, 미래 모빌리티 경량화 선도 | 2025-10-30 |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합성고무] 고무, 미래 모빌리티 맞춰 기술 혁신하라! | 2025-11-21 | ||
| [배터리] 차세대 배터리, 탈중국에 미래형 소재 부상 첨단기술 개발만이 살길이다! | 2025-10-31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