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TA 체결하면 석유제품ㆍ합성수지 중첩 … 우회수입도 고민은 여전 한국과 싱가폴 간 FTA가 체결되면 싱가폴산 석유제품, 유기화학제품, 알카리망간 건전지 등의 비교우위가 높아져 수입이 크게 증가하고 국내기업들이 타격을 받을 것으로 전망됐다.한국무역협회 무역연구소(소장 현오석)가 최근 분석한 <한국-싱가폴 FTA의 영향과 추진방안> 보고서에 따르면, 현재 한국-싱가폴 간 교역액은 연평균 80억달러 내외로 싱가폴은 한국의 제8위 수출국이자 제11위 수입국이며, 한국이 매년 10억-45억달러 내외의 흑자 지속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싱가폴은 현재 알코올성음료인 Beer, Stout & Porter, Samsu(중국산 술) 4개 품목에 대해서만 관세를 부과하고 있으며 이들 품목에 대해서도 2010년까지 모든 관세를 철폐할 계획이다. 반면, 한국은 관세철폐로 인해 일부 품목의 수입증가가 예상되는데 싱가폴의 총 수출 중 46%가 재수출이고 한국에 대한 싱가폴의 재수출 비중 또한 50% 내외를 보이고 있어 FTA 체결로 제3국을 통한 우회수입 이 증가할 우려가 있는 것으로 지적됐다. 한국-싱가폴 모두 반도체, 컴퓨터, 석유제품, 합성수지 등을 주요 품목으로 수출하고 있어 양국의 교역구조는 상호 중첩되고 경쟁관계에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싱가폴은 컴퓨터 및 사무기기, 반도체 및 전기기기, 통신기기와 유기화학제품 등에서, 한국은 컴퓨터 및 사무기기, 통신기기, 반도체 및 전기기기, 선박, 플래스틱, 고무제품, 섬유류, 철강제품 등이 각각 경쟁력이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한국이 싱가폴에서 수입하는 품목 중 100대 품목에 부과되는 관세율을 기준으로 수입민감품목을 분석한 결과, 100대 수입품목 중 42개 품목, 금액으로는 수입액의 71%에 해당되는 반도체, 컴퓨터용품, 프린터, 통신기기 등 주로 정보통신관련 제품에 품목에 무관세가 적용되고 있었다. 금액으로는 21억1000만달러 규모에 이른다. 또 나머지 58개 품목(금액기준 29%) 중 저관세품목(한국의 공산품 평균관세율인 6.2% 미만의 관세율이 적용되는 품목)은 컴퓨터 부품 중 일부품목, 금?동?알루미늄 등의 원자재, 나프타 등 석유화학 기초원료 등 12개 품목으로 100대 품목 전체수입액의 9.9%인 2억9400만달러가 수입되고 있었다. 고관세품목(6.2-8.0% 이하의 관세율이 적용되는 품목)은 할당관세가 적용되고 있는 석유관련 제품, 합성장섬유, 의약품, 선박용 엔진부품 등 기계류, 정제한 동의 박 등 원자재를 포함한 44개 품목(18.6%?5억5300만달러)이 해당됐으며, 8.1% 이상의 관세율이 적용되는 초고관세품목에는 알카리망간 건전지, 보올베어링 등 2개 품목(0.8%?2500만달러)이 포함됐다. 무역연구소는 싱가폴산 수입의 3분의 2 이상을 차지하는 반도체, 컴퓨터용품, 프린터, 통신기기 등은 대부분 무관세 품목으로 큰 폭의 수입 증가는 없겠으나 다만, 석유제품, 컴퓨터 부품 중 일부품목, 일부 기계류 및 전기기기 등은 관세철폐 시 수입증가가 우려된다고 지적했다. 특히, 석유제품은 싱가포르가 경쟁력이 있고 한국이 현재 7%의 할당관세를 부과하고 있어 관세철폐 시 수입증가 우려가 크다는 분석이다. 컴퓨터부품 중 일부 품목, 전기기기 등 일부 저관세품목도 관세 철폐 시 수입증가가 예상되며, 초고관세품목(관세율 13%)인 알카리망간 건전지는 이미 국내시장의 40%를 차지하고 있는 싱가폴 제품의 시장잠식이 우려된다. 한편, 보올베어링은 비록 관세율이 높은 수준(13%)이지만 대부분 독일, 일본 등의 재수출품목으로 한국-싱가폴 FTA 체결로 인한 직접적인 영향은 없을 것으로 보이나 이들 제품들이 싱가폴 특혜원산지규정을 충족시키자면 수입이 증가할 수 있는 것으로 전망됐다. <조인경 기자> 표, 그래프: | 한국-싱가폴의 교역현황 | 싱가폴 제품의 무역특화지수 및 현시비교우위지수(2000) | <Chemical Journal 2003/04/07>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에너지정책] 중국의 화학산업 혁신 ①, 그린 화학제품 생산 본격화 세계 최초 바이오제조 “성공” | 2025-05-02 | ||
[산업정책] 싱가폴, 탄소세 영향 범용제품 철수 고기능제품 중심 전환한다! | 2025-04-11 | ||
[식품소재] 화학제품, 할랄 시장 “급부상” | 2025-04-04 | ||
[화학경영] 일본계 화학기업 ②, 첨단소재는 일본에서 공급…화학제품 유통 네트워크 강화 | 2025-03-21 | ||
[화학경영] 싱가폴, 글로벌 화학산업 허브화… | 2025-02-21 |
수탁사 | 수탁 업무 및 목적 | 보유 및 이용기간 |
---|---|---|
미래 이포스트 | 상품 배송 | 서비스 목적 달성시 또는 관계법령에 따른 보존기한까지 |
LG U+ | 구독 신청에 필요한 신용카드, 현금결제 등의 결제 대행 | |
홈페이지코리아 | 전산시스템 운영 및 유지보수 |
수집하는 개인정보 항목 |
성명, 회사명, 부서, 직위, 전화번호, 핸드폰번호, 팩스, 이메일, 홈페이지주소 자동수집항목 : 서비스 이용기록, 접속 로그, 쿠키, 접속 IP 정보 |
---|---|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 |
켐로커스는 수집한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활용합니다. (1) 성명, 회사명 - 회원제 서비스 이용에 따른 회원식별, 불량 회원의 부정 이용 방지를 위함 (2) 부서명/직위 : 회원의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 및 마케팅에 활용 (3) 이메일, 홈페이지 주소, 팩스, 전화번호, 휴대폰번호 - 서비스 이용 후 계약이행에 대한 내용 제공, 결제 진행사항 통보, 영수증 및 청구서 송부, 불만처리 등을 위함 |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기간 |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이 달성된 후 지체없이 파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