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이 우리나라의 최대 투자국으로 급부상하고 있다. 통상산업부에 따르면, 우리나라 기업들의 중국투자(허가기준)는 지난 3월까지 2184 건에 18억7800만달러로 전체 해외투자중 건수로는 40.8%, 금액으로는 17.5%를 차지했다. 연도별로는 지난 90년까지 50건에 그치던 것이 91년 111건, 92년 265건, 93년 616 건, 94년 942건, 95년 1~3월 200건 등으로 91년이후 연평균 130% 이상씩 증가하고 있다. 이는 동남아지역에 투자를 집중하던 우리나라 기업들이 지난 92년의 양국간 국교수립을 계기로 광대한 시장과 풍부한 교포 노동력을 보유한 중국쪽으로 투자지를 옮기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중국투자를 지역별로 보면 산동성·북경시·천진시·하북성 등 발해만 지역에 대한 투자가 990건(10억4300만달러)으로 전체 중국투자의 45.3%(금액 55.5%)를 차지했다. 반면, 상해시·광동성·복건성 등 동남지역에 대한 투자는 6.9%인 151건(1억8800 만달러)에 불과했는데 이는 일본 및 홍콩 기업들이 미리 진출한 이 지역의 임금 및 임대료가 다른 곳보다 상대적으로 높기 때문으로 풀이되고 있다. 업종별 투자현황을 보면 제조업이 1888건에 16억5300만달러로 건수와 금액에서 전체 중국투자의 86.5%와 88.0%를 각각 점유, 우리나라기업들의 중국투자가 제조업 중심으로 이뤄지고 있음을 보여줬다. 제조업중에는 섬유·의복이 428건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이 조립금속 237건, 신발·가죽 194건, 석유화학 170건, 음식료품 147 건, 기계장비 106건 등의 순이었다. 중국은 산동성을 한국기업투자유치지역으로 지정하는 등 우리나라 기업들에 대한 투자유치를 적극화하고 있어 중국투자는 가속될 전망이다. <화학저널 1995/6/26>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국제유가] 국제유가, 미국-중국 갈등 “하락” | 2025-05-08 | ||
[무기화학/CA] 요소, 중국이 수출규제 완화한다! | 2025-05-08 | ||
[배터리] K-배터리, 중국에 계속 밀려난다! | 2025-05-07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페인트/잉크] TiO2, 중국산 공급과잉 전환에 친환경 프로세스 전환한다! | 2025-05-02 | ||
[에너지정책] 중국의 화학산업 혁신 ①, 그린 화학제품 생산 본격화 세계 최초 바이오제조 “성공” | 2025-05-02 |
수탁사 | 수탁 업무 및 목적 | 보유 및 이용기간 |
---|---|---|
미래 이포스트 | 상품 배송 | 서비스 목적 달성시 또는 관계법령에 따른 보존기한까지 |
LG U+ | 구독 신청에 필요한 신용카드, 현금결제 등의 결제 대행 | |
홈페이지코리아 | 전산시스템 운영 및 유지보수 |
수집하는 개인정보 항목 |
성명, 회사명, 부서, 직위, 전화번호, 핸드폰번호, 팩스, 이메일, 홈페이지주소 자동수집항목 : 서비스 이용기록, 접속 로그, 쿠키, 접속 IP 정보 |
---|---|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 |
켐로커스는 수집한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활용합니다. (1) 성명, 회사명 - 회원제 서비스 이용에 따른 회원식별, 불량 회원의 부정 이용 방지를 위함 (2) 부서명/직위 : 회원의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 및 마케팅에 활용 (3) 이메일, 홈페이지 주소, 팩스, 전화번호, 휴대폰번호 - 서비스 이용 후 계약이행에 대한 내용 제공, 결제 진행사항 통보, 영수증 및 청구서 송부, 불만처리 등을 위함 |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기간 |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이 달성된 후 지체없이 파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