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pacity ◆ 2002년 국내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필름 생산능력은 총 30만3000톤으로 SKC 9만7000톤, 도레이새한 9만톤, 코오롱 4만4000톤, KP케미칼 4만8000톤, 화승인더스트리 1만2000톤, 효성 1만2000톤이었다. 그러나 국내수요는 총 15만8000톤에 불과했다. ◆ 2003년 PET필름 생산능력은 SKC 10만2800톤, 도레이새한 8만9400톤, 코오롱은 KP케미칼을 인수한 후 9만2000톤으로 나타나고 있다. 도레이새한은 자체 시설정비로 생산량을 1100톤 늘려 9만500톤의 생산능력을 보유했고, 코오롱은 수급밸런스를 위해 생산량을 조절하고 있다. ◆ 2003년 코오롱이 KP케미칼의 당진 플랜트를 인수해 총 9만2000톤의 생산능력을 확보함으로써 국내시장의 변화가 예상됐으나 4월 말 플랜트 인수 후 7월까지 코오롱이 KP케미칼의 기존 주요 거래처를 확보했고 PET필름의 국내수요가 많아 큰 변동이 없었다. ◆ 그러나 도레이새한은 7월부터 마케팅부를 신설하는 등 일부 영업시스템의 변경을 시도하고 있어 코오롱의 KP케미칼 플랜트 인수와 함께 PET필름 시장의 변화가 주목된다. 표, 그래프 | 국내 PET필름 생산능력 순위(2003) | PET필름 수출실적 비교 | PET필름 수급현황 | 국내 PET필름 생산능력(2003) | TPA 및 MEG 가격변동(2002-03) | 세계 PET필름 생산능력 | <화학저널 2003/10/27> |
한줄의견
관련뉴스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신재생에너지] PET필름, 태양전지 시장 개척 | 2025-04-18 | ||
[플래스틱] PET필름, 중국 덤핑공세 차단한다! | 2025-04-15 | ||
[플래스틱] 효성화학, TAC‧PET필름 매각한다! | 2025-03-27 | ||
[플래스틱] PET필름, 사모펀드가 장악한다! | 2024-08-09 | ||
[플래스틱] PET필름, 도요보가 시장 장악한다! | 2024-04-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