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1인당 CO2 배출량 일본 추월
|
IEA, 2001년 기준 9.21톤 달해 … 영국ㆍ프랑스ㆍ이태리보다도 많아 한국의 1인당 이산화탄소(CO2) 배출량이 일본을 크게 앞지른 것으로 나타났다.일본은 2000년을 고비로 CO2 배출량이 줄어들고 있으나 한국은 외환위기 때 배출량이 일시 줄어든 이후 다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한국의 산업구조상 철강ㆍ시멘트ㆍ석유화학 등 에너지 다소비업종의 비중이 크기 때문이다. 국제에너지기구(IEA)는 최근 <세계 주요 에너지통계 2003>을 통해 한국 국민 1인당 에너지를 태울 때 발생하는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2001년 기준 9.21톤에 달한다고 발표했다. 독일, 러시아와 비슷한 수준이며 일본, 영국, 프랑스, 이태리보다는 많은 것이다. 한국은 국가별 배출량에 있어서도 미국, 중국, 러시아, 일본에 이어 세계 9번째로 많았다. 이산화탄소는 공장, 자동차 등에서 석유, 석탄 등 연료를 태울 때 발생하며 지구온난화와 기상이변을 일으키는 대표적인 온실가스이다. 이에 따라 선진국들의 온실가스 감축 노력에 한국도 동참하라는 압력이 더욱 거세질 전망이다. 아직 정식 발효되지는 않고 있으나 선진국들은 이미 1997년 채택한 교토(京都)의정서를 통해 2008-2012년 사이에 1990년 발생량보다 평균 5.2%를 더 줄이기로 합의했다. 한국은 그동안 산업계의 부담을 줄이기 위해 경제개발을 늦게 시작했고, 다른 개발도상국처럼 1인당 온실가스 발생량이 낮다는 점을 들어 감축의무를 피해 왔다. 그러나 한국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이어서 경제개발을 위해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줄일 수 없다는 입장을 견지하고 있는 개발도상국과는 상황이 달라 이산화탄소 배출량 감축을 위한 국제적인 책임을 함께 지자는 압력이 거세질 전망이다. 정부도 국제적인 압력을 의식하고 2013년부터 자발적으로 이산화탄소 감축에 참여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한편, 온실가스 감축문제를 논의하기 위한 기후변화협약 제9차 당사국회의(COP9)가 12월1일 이태리 밀라노에서 개막돼 12일까지 진행된다. 표, 그래프: | OECD 국가의 1인당 CO2 배출량(2001) | <Chemical Journal 2003/12/03> |
한줄의견
관련뉴스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석유화학] 에틸렌, 한국 연말까지 감축 가동 확산… | 2025-11-19 | ||
| [반도체소재] JX금속, 한국 반도체 호황에 “함박웃음” | 2025-11-12 | ||
| [에너지정책] 바스프, 한국산 화장품 원료 사업 확대 | 2025-11-11 | ||
| [전자소재] 다우, 한국과 데이터센터 액체냉각 솔루션 개발 | 2025-11-07 |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반도체소재] 반도체, 소재 중심으로 한국 투자 확대한다! | 2025-11-07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