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멘트, 국내 생산능력 4628만톤
|
쌍용ㆍ동양ㆍ성신 3사 과점상태 … 2000년 생산량은 5125만톤 국내 시멘트 생산기업이 10개에 달하나 상위 3사의 시장점유율이 52%에 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2000년 국내 시멘트 수요는 건설수주와 건축허가면적의 증가에 힘입어 1999년보다 7.3% 늘어난 4800만톤에 달했고, 2000년 크링카와 시멘트 생산은 각각 4571만9000톤, 5125만5000톤으로 1999년보다 각각 4.4%, 6.4% 증가했다. 시멘트는 생산지에서 소비자까지의 일반적인 유통구조가『생산자→유통기지(Silo)→소비자』로 되어 있고, 생산지에 위치한 소비자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유통기지를 거치게 된다. 유통기지까지의 운송비는 대부분 생산자가 부담하고 유통기지에서 소비자까지의 운반비는 소비자가 부담하고 있다. 시멘트는 소비자의 특성에 따라 민수와 관수로 구분할 수 있는데, 관수는 국내 총수요의 2-4% 수준으로 미미하고 대부분은 민간에서 소비하고 있다. 또 제품별(포장ㆍ벌크)로 소비구조를 구분하면 대부분은 벌크 형태로 소비되고 있다. 벌크 시멘트는 레미콘, 건설회사 및 벽돌, 파일 등 2차제품 생산자에게 공급되고 있다. 시멘트산업은 건설산업에서 사용하는 원자재의 제조용 원재료 및 건설산업에 직접 투입되는 소원재료(素原材料)를 공급하는 기초소재산업으로 초기에 대규모 생산장치를 갖추어야 경상적(經常的)인 생산이 가능한 장치산업으로서 거액의 설비투자가 소요된다. 시멘트는 원재료 공급원인 석회석광산의 입지에 따라 동해ㆍ삼척지역 및 단양ㆍ제천지역에서 전국 총 생산량의 90%를 생산ㆍ공급하고 있고, 장치ㆍ입지산업의 특성으로 인해 신규진입이 용이하지 않다. 시멘트산업은 고정비부담이 커 가동률 유지가 중요하고 제품 특성상 재고보관에도 한계가 있어 수요 감소시기에는 수급균형이 악화되기 쉬운 특징이 있다. 시멘트산업은 혼합원료를 소성ㆍ분쇄하는 것이 주요 공정으로 제조공정에서 연료 및 동력비가 차지하는 비중이 매우 높은데 실제 시멘트 생산을 위한 제조비용 중 약 46% 이상이 에너지비용으로 투입되고 있다. 표, 그래프: | 시멘트 시장점유율(2000) | 시멘트 수급현황 | <Chemical Journal 2003/12/12> |
한줄의견
관련뉴스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바이오연료] 현대오일, 국내 최초 암모니아 저장설비 건설 | 2025-10-22 | ||
| [농화학] 농약, 일본이 국내시장 “군침” | 2025-09-23 | ||
| [바이오연료] 현대오일뱅크, 국내 SAF 시장 진출 | 2025-09-22 | ||
| [신재생에너지] 한화큐셀, 국내 PPA 사업 확대 | 2025-07-16 |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바이오연료] SAF, 미국, 세제혜택 타고 성장 국내시장도 활성화 “기대” | 2025-07-25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