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일 3국 생사 걸고 시장쟁탈전 국내 유일의 화이트카본(White Carbon) 생산기업인 로디아실리카코리아(대표 F.Renard)가 일반 화이트카본에서 고부가가치제품으로 방향을 전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국내 화이트 카본 시장은 신발고무용 수요가 급감한 반면 타이어용과 멤브레인용 등 실리콘 고무용의 신규수요와 고부가가치제품의 수요는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국내 신발 생산기업들이 인건비 상승 등으로 외국기업과의 경쟁력이 떨어진다고 판단하고 중국 및 동남아로 공장을 이전해 신발의 고무보강충진제로 사용되는 일반 화이트카본 수요가 감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로디아, 고부가가치제품 공급 주력 로디아실리카는 고분산성의 화이트카본을 개발해 그린타이어에 사용하고 있고, 자동차의 축전지 격리판에 사용돼 기계적이고 전기적인 특성을 훌륭하게 발휘하는 제품을 공급하고 있다. 특히, 자동차의 축전지 격리판에 사용되는 멤브레인용 화이트카본은 일본으로부터 100% 수입에 의존했으나 점차 국산으로 대체되고 있다. 한솔제지, 보워터한라제지 등 국내 제지 생산기업들이 신문용지 경량화에 힘쓰는 추세에 따라 화이트카본 수요도 증가할 전망이다. 로디아실리카는 종이의 인쇄적성을 향상시켜주고 bulkiness 및 brightness를 높여주는 제품을 공급하고 있다. 로디아실리카는 환경문제를 고려한 Granule 제품의 공급을 늘리고 마케팅 측면에서 가격대비 효과를 꾸준히 강조하는 동시에 Granule 제품보다 업그레이드된 MP(Micro Pearl) 제품을 2004년 상반기부터 공급할 것으로 알려졌다. 한해 1만5000톤 가량의 MP 제품을 공급하기 위해 2003년 하반기까지 설비투자를 통해 양산체제를 완료했다. 표, 그래프 | 화이트카본 수출현황 | 화이트카본 수입현황 | 로디아실리카코리아의 경영실적 | 화이트카본 수급현황 | 일본의 화이트카본 출하동향 | 일본의 Silicon Dioxide 수입동향 | 세계 침전방식 카본화이트 생산능력(1997) | 중국의 침전 카본화이트 소비구조(2001) | 중국의 주요 가스계 카본화이트 생산기업(2002) | 중국의 가스계 카본화이트 소비량 | <화학저널 2004/3/1>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석유정제] 2008년부터 White Bio 적극 육성 | 2007-04-26 | ||
[첨가제] 중국, Gell-Free Silica White 상업화 | 2004-06-04 | ||
[제약] White Biotechnology를 주목하라! | 2003-11-18 | ||
[첨가제] 일본, White Carbon 특화 추진 | 2003-05-15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첨가제] White Carbon 시장 “급변” | 2001-07-09 |
수탁사 | 수탁 업무 및 목적 | 보유 및 이용기간 |
---|---|---|
미래 이포스트 | 상품 배송 | 서비스 목적 달성시 또는 관계법령에 따른 보존기한까지 |
LG U+ | 구독 신청에 필요한 신용카드, 현금결제 등의 결제 대행 | |
홈페이지코리아 | 전산시스템 운영 및 유지보수 |
수집하는 개인정보 항목 |
성명, 회사명, 부서, 직위, 전화번호, 핸드폰번호, 팩스, 이메일, 홈페이지주소 자동수집항목 : 서비스 이용기록, 접속 로그, 쿠키, 접속 IP 정보 |
---|---|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 |
켐로커스는 수집한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활용합니다. (1) 성명, 회사명 - 회원제 서비스 이용에 따른 회원식별, 불량 회원의 부정 이용 방지를 위함 (2) 부서명/직위 : 회원의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 및 마케팅에 활용 (3) 이메일, 홈페이지 주소, 팩스, 전화번호, 휴대폰번호 - 서비스 이용 후 계약이행에 대한 내용 제공, 결제 진행사항 통보, 영수증 및 청구서 송부, 불만처리 등을 위함 |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기간 |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이 달성된 후 지체없이 파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