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카린, 97년 "호황" 도래할까?
|
95년 이례적인 호황을 누렸던 사카린 시장이 96년 잠시 주춤거리고 있으나 97년에는 다시 회복될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이는 하락세에 접어들었던 사카린의 주원료인 PA가격 상승과 중국의 세법 개정파문, 미국의 사카린 규제완화 움직임 등이 가시화되고 있기 때문이다. 관련업계에 따르면, PA의 국제가격은 95년2월 Kg당 918달러에서 러시아산 대량 유입으로 95년11월 550달러까지 급락하였으나 러시아산이 저급품이라는 이유와 일본의 PA 생산감소에 따른 공급위축, 중국의 관세법 개정에 의한 가수요 증가로 95년 12월부터 상승하기 시작, 96년2월 현재 Kg당 800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여기에 PA를 원료로 사용하는 가소제, 도료, 불포화수지 등의 중국수요가 늘고 있어 PA가격은 앞으로도 계속 상승할 전망이다. 표, 그래프 : | 국내 사카린 수급현황 | <화학저널 1996/3/11> |
한줄의견
관련뉴스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식품소재] 사카린, 중국이 한국산 밀어낸다! | 2018-04-17 | ||
| [식품소재] JMC, 사카린 사용규제 해제로… | 2017-08-30 | ||
| [식품소재] 사카린, 조업 규제로 고공행진 지속 | 2017-08-22 | ||
| [식품소재] 사카린, 중국 가동규제 영향으로… | 2017-06-13 |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식품소재] 경인양행, 사카린 수출 집중한다! | 2017-07-07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