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PTA 신증설 프로젝트 러시
|
BP 90만톤 초대형 플랜트 계획 … 타이완 Dragon도 복수착공 나서 중국의 PTA(Purified Terephthalic Acid) 신증설 경쟁이 과열조짐을 보이고 있다.중국은 Polyester 생산 확대에 따라 PTA 수요의 70%를 수입에 의존하고 있어 PTA 생산능력 신증설 프로젝트가 홍수를 이루고 있다. 중국은 세계 최대의 Polyester 섬유 생산국으로 외국기업과의 합작 또는 중국기업의 투자를 통해 신증설 프로젝트가 줄을 잇고 있으며 중국 정부도 내수공급을 확대함으로써 수입을 줄이기 위해 PTA 투자를 적극 지원하고 있다. BP는 중국기업과 합작으로 Guangdong의 Zhuhai에 코스트와 생산량 등 모든 면에서 뛰어난 신기술을 적용해 90만톤의 초대형 PTA 플랜트 신설계획을 추진하고 있으며 2007년 말 가동할 계획이다. 단일 플랜트로는 세계 최대이며, 세계에서 가장 높은 수요신장률을 보이고 있는 중국에 최신기술을 적용한 플랜트를 건설함으로써 중국시장 입지를 대폭 강화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BP는 현재도 Zhuhai에서 중국기업과 합작으로 PTA 35만톤 플랜트를 가동하고 있다. 타이완 Dragon은 Jiangsu의 海倫에 三房券과 합작으로 PTA 60만톤 플랜트를 착공했고 吳江에서는 단독으로 60만톤 플랜트 건설에 착수했다. 중국 국가차원의 투자승인이 떨어지는데 다소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이나 2005년 4월 완공한 PTA 플랜트가 6월 승인을 받은 전례도 있어 Dragon의 투자도 최종적으로는 승인받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밖에도 일본 Mitsubishi Chemical이 Ningbo 소재 PTA 플랜트 건설에 착수하는 등 중국의 PTA 플랜트 신증설이 새로운 경쟁국면에 접어들고 있다. 따라서 몇 년 후에는 중국산 PTA와 수입제품의 경쟁이 본격화됨은 물론 원료 P-X(Para-Xylene)의 수급에도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화학저널 2005/12/01> |
한줄의견
관련뉴스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화학경영] 바스프, 중국 중심 수익성 개선한다! | 2025-11-21 | ||
| [배터리] SK온, 중국 옌청 배터리 공장에 집중 | 2025-11-21 | ||
| [디지털화] 클라리언트, 중국에 AI 솔루션 공급 | 2025-11-20 | ||
| [합성섬유] PTA, 중국 공급과잉에 나락으로… | 2025-11-20 |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플래스틱] 플래스틱 무역, 중국 수출 공세 강화에 미국산 수입은 외면했다! | 2025-11-21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