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K, 동아시아 수입 22만톤 수준
|
중국 14만톤에 한국 8만톤으로 대부분 차지 … MIBK도 수급타이트 Ketone계 용제인 MEK(Methyl Ethyl Ketone)의 동아시아 수입이 증가하면서 수급이 타이트해지고 있다.일본은 2004년 MEK 수출이 15만톤에 달해 전년대비 40% 증가함으로써 정기보수가 실시되지 않았던 2001년에 비해 32% 증가한 것으로 추정된다. 한국이 가장 많이 수입해 1위로 나타나고 있는데 Maruzen Petrochemical이 한국에 수출기지를 두고 있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중국은 MEK 수요 약 20만톤 중 14만톤 정도를 수입했으나 한국은 수요 8만톤 전량을 수입하고 있다. 2004년 일본 3사의 생산은 23% 증가한 28만6600톤을 기록했는데 정기보수를 실시하지 않았던 2001년과 비교할 때 약 15% 증가했다. 일본 수요는 Non Aroma화에 따라 인쇄잉크용이 견실한 움직임을 보였으나 기타용은 모두 2002년 수준에 머물렀으며, 수출은 중국을 중심으로 크게 증가했다. MEK는 뛰어난 용해성으로 특수 그라비아잉크 등 인쇄잉크나 수지 가공, 에폭시수지(Epoxy Resin), 자기테이프, Urethane Resin, 도료 등에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MIBK(Methyl Isobutyl Ketone)도 Ketone계를 대표하는 용제의 하나로 MEK와 마찬가지로 수급이 타이트하다. 일본은 2004년 MIBK 생산이 2.7% 증가한 6만3000톤을 기록해 2002년과 마찬가지로 풀가동했다. 일본 수요는 자동차용 도료 생산의 해외이전으로 보합세를 나타냈으며, 수출은 MEK과 마찬가지로 중국을 중심으로 증가했다. 주력인 도료용은 중방식 분야가 증가했으나 자동차용과 식품 캔은 감소했으며, 수출은 중국이 21% 증가한 1만톤 이상으로 홍콩을 포함하면 1만4000톤을 기록했다. <화학저널 2006/01/04> |
한줄의견
관련뉴스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폴리머] LLDPE, 동아시아‧인디아 양극화 | 2021-08-23 | ||
| [올레핀] MEK, 장기간 약세행진 “종료” | 2020-12-14 |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아로마틱] 용제 ②, 일본, MEK·MIBK 생산 확대 시뮬레이션 통해 사용 최적화… | 2024-12-20 | ||
| [석유화학] 용제, LG·이수에 SK 합류 MEK는 퇴출을 본격화한다! | 2024-03-08 | ||
| [석유화학] MEK, 일본산 수입 돌아온다! | 2023-09-08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