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TiO2 수입감소로 수급타이트
|
허리케인 영향으로 수입량 줄어 … DuPont 대체공급처 모색 활발 일본의 TiO2(Titanium Dioxide) 수입이 눈에 띄게 감소하고 있다.미국을 강타한 허리케인 Katrina와 Rita의 영향으로 DuPont이 미시시피 플랜트 가동중단을 선언하는 등 외부요인이 작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일본 재무성 무역통계에 따르면, 2005년 10월 Titanium 조성물, 안료ㆍ조정제품을 포함한 TiO2 총 수입량은 전년동기대비 35% 감소했으며, 특히 미국제품 수입은 53% 급감했다. 일본은 TiO2 수입이 줄었으나 내수ㆍ수출도 감소세를 이어가 수급밸런스를 유지하고 있지만 2006년 초에는 수급타이트가 심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일본은 TiO2 생산량이 25만톤 전후로 17만톤은 내수시장에 출하하고 8만톤 정도를 수출하고 있다. 일본은 TiO2 수입량도 7만톤 수준으로 내수 출하분 17만톤을 포함하면 총수요가 24만톤으로 파악된다. 그러나 최근 들어 중국수출이 급격히 신장해 수급타이트가 계속되고 있으며 2005년에는 수출이 17%, 내수가 1% 감소하는 등 2004년에 비해 후퇴했다. 2005년에는 9월 미국을 덮친 허리케인의 피해로 DuPont이 미시시피 소재 TiO2 34만톤 플랜트의 불가항력을 선언함에 따라 수입이 크게 줄어들었다. 10월에는 전체 수입량이 전년동월대비 35% 감소한 4500톤, 미국제품은 53% 줄어든 930톤으로 나타났다. 미국 동부지역에서 일본까지 도착하는 기간을 감안하면 10월 중순부터 미국제품 수입이 격감한 것으로 판단된다. 1-10월 수입은 6만톤으로 5% 감소했으나 미국제품은 1만7500톤으로 0.4% 증가해 2004년과 유사한 흐름을 나타냈다. DuPont은 2006년 초 미시시피 플랜트 중 17만톤 라인을 재가동하고 3월에는 나머지 17만톤도 가동시킬 계획이어서 미국제품의 수입은 2006년 봄까지 약세를 이어갈 것으로 예상된다. DuPont은 미시시피 플랜트 외에도 미국, 타이완, 멕시코 등에서 TiO2를 생산하고 있어 일본 공급량을 일정수준으로 유지할 것이라는 견해도 제기되고 있다. 그러나 DuPont은 세계 최대의 TiO2 생산기업으로 일본에 4만톤 가량을 공급하는 등 영향력이 매우 커 일본 수요처의 일부는 DuPont을 대체할 공급처를 모색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화학저널 2005/01/05> |
한줄의견
관련뉴스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석유화학] 일본, 에틸렌 가동률 70%대로 다시 하락 | 2025-11-17 | ||
| [반도체소재] 삼성전기, 일본과 유리기판 합작투자 추진 | 2025-11-05 |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폴리머] 에폭시수지 ②, 일본 AI 기판용 수요 급증 스페셜티로 경쟁력 강화한다! | 2025-11-14 | ||
| [배터리] LiB, SK·일본이 리사이클 시장 주도… | 2025-11-14 | ||
| [배터리] 전해질, 탈중국 움직임 본격화… 일본, 중국 공백을 노린다! | 2025-11-07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