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력에너지, 고유가 시대 “등불”
|
특허청, 2004년 공급 130% 증가 … 정부는 10개년 기술개발 추진 최근의 고유가 및 이산화탄소(CO2) 배출을 규제하는 교토의정서의 영향으로 풍력에너지, 태양에너지, 수소에너지 등 신ㆍ재생에너지가 많은 관심을 얻고 있다.정부도 2011년까지 총에너지 수요의 5%를 신ㆍ재생에너지로 공급하기 위해 10개년 기술개발 및 보급사업을 수립해 적극적으로 시행하고 있다. 특허청에 따르면, 풍력 에너지의 국내 공급량은 2001년 이후 매년 20% 이상 증가하고 있으며 2004년에는 대용량 풍력단지의 설치로 2003년에 비해 130% 가까이 증가했다. 2004년 풍력발전설비는 136기(발전용량 29Mw)가 가동되고 있으며 총발전량은 4만7442Mwh로 약 1만2000톤
풍력발전은 세계 총 발전용량이 1995년 5000Mw를 돌파한 후 2003년 약 4만300Mw에 달했고, 풍력발전설비는 약 6만8000기가 설치돼 발전용량이 연평균 4300Mw 증가하고 발전설비도 매년 1000기 이상 설치되고 있다. 풍력발전 관련 국내특허 출원은 1995년부터 2004년까지 모두 449건이 출원됐는데 개인출원이 77%로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다. 특히, 2000년 이후 출원건수가 2배이상 늘어난 70건 이상씩 출원되고 있다. 2002년 이후에는 매년 평균 20여건의 외국인 출원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출원비중도 매년 20%를 넘고 있다. 독일 출원이 가장 많아 외국인 전체 출원의 76%(56건)을 차지하고 있으며, 최근 독일의 재생에너지 기업들이 국내시장에 관심을 기울이는 것으로 판단된다. 출원기술은 △날개제어 △날개구조 △복합풍력 △차량바람이용 △소음감소 △해상풍력 기술로 구분되는데 날개는 풍력발전기의 발전효율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부품으로, 날개제어와 날개구조 관련 기술이 전체 출원의 61%를 차지하고 있고 나머지 기술들이 6 -11%의 비중으로 출원되고 있다. 특히, 해상풍력 관련출원 가운데 외국출원 비율은 60%에 달해 최근 유럽을 중심으로 해상풍력단지에 관한 기술개발이 활발한 점을 반영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관련 출원이 더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전력망과 연계되는 풍력설비가 증가함에 따라 전력 수요와 공급의 불일치, 전력망과 연계시의 문제점들과 관련된 출원들도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또 재생에너지의 비중을 증가시키기 위한 세계적인 흐름에 따라 관련된 기술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며, 풍력발전 관련 출원이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측된다. 그러나 국내기업들의 출원이 극히 저조해 기술개발 활성화에 대한 대책이 요구되고 있다. <김지은기자> 표, 그래프: | 풍력관련 기술 출원비율 | <화학저널 2005/01/05> |
||||||||||||||||
한줄의견
관련뉴스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페인트/잉크] 삼화페인트, 고환율‧고유가로 타격 | 2025-02-04 | ||
| [화학경영] 에쓰오일, 고유가 힘입어 흑자전환 | 2024-04-26 | ||
| [화학경영] SK이노베이션, 고유가로 대박냈다! | 2023-02-07 | ||
| [에너지정책] 고유가에 유류세 인하 “기대” | 2012-02-27 |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천연가스] 천연가스 ①, 고유가에 저탄소 트렌드 글로벌 수요 정점 통과했다! | 2023-12-22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