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신약 연구개발 추진 “본격화”
|
사업구조 단순화에 체제적 지원 … 국가신약개발전략위원회도 구성 세계적인 수준의 신약개발 모델 창출을 위한 범정부 차원의 신약개발 연구개발(R&D) 추진전략이 본격 추진된다.정부는 2월16일 오전 서울 삼성동 코엑스 인터콘티넨탈호텔에서 김우식 부총리 겸 과학기술부 장관 주재로 제13회 과학기술관계장관회의를 개최해 <범부처 신약개발 연구개발 추진전략> 등 6개 안건을 심의ㆍ확정했다. 이에 따라 신약개발 연구개발 사업구조가 대폭 단순화되고, 체계적인 지원이 이루어지는 등 신약개발 작업이 본 궤도에 오를 것으로 예상된다. 정부는 <국가신약개발전략위원회>를 구성해 국가 신약개발 연구개발의 기획ㆍ조정과 산ㆍ학ㆍ연의 의견 교환 창구로 활용할 예정이다. 또 후보물질 도출 연구는 과기부, 비임상ㆍ임상시험은 산업자원부, 비임상과 임상시험 관련 인프라 지원은 보건복지부가 각각 담당하는 등 부처간 역할도 조정키로 했다. 비임상 단계 연구는 산자부ㆍ복지부가 공동지원하는 형태로 병목현상을 해소할 방침이다. 특히, 현재 세부과제별로 분산된 신약개발 사업을 점진적으로 부처별 신약개발사업으로 통합ㆍ단순화해 범부처 차원의 신약개발 체계를 구축하고 신약개발 연구개발 사업구조를 단순화할 계획이다. 아울러 해상풍력ㆍ파력(波力) 에너지 복합이용 기술과 자연재해 예측 및 대응 시스템 기술개발 등을 골자로 하는 <해양과학기술 발전을 위한 로드맵> 수립안도 확정됐다. 로드맵에는 유비쿼터스 환경을 기반으로 한 정보생성 및 공유와 선박ㆍ항만 자동화 등을 실현하기 위한 U-기반 해양물류 스마트 시스템 개발과 초대형 부유식 해상 구조물을 활용한 해상물류시설과 지원시설을 조성하는 천해역 해상산업기지 조성기술 개발도 포함됐다. 또 저공해 LPG버스 실용화사업은 경제성과 환경성, 인프라 등에서 천연가스 버스에 미치지 못한다는 산업연구원의 예비타당성 조사기관 조사결과를 수용해 천연가스 보급에 주력할 계획이다. 특히, 국가과학기술위원회 산하에 위원장 1명 등 15명 이내의 국방전문위원회를 설치해 국가연구개발사업과 국방 연구개발의 연계ㆍ조정에 관한 사항 등을 심의할 방침이다. 이와 함께 나노 관련 인프라 투자 효율화를 위해 3월 나노기술조정위원회를 설치해 중복투자를 예방하고 주요 대형 나노 인프라의 독립법인화도 추진할 예정이다. 또 국가연구개발사업 연구기획단계의 특허동향조사 대상과제를 2005년 2개 부처 38개 과제에서 2006년에는 4개 부처 200여개로 확대하고, 과제 선정단계의 선행기술 조사 지원도 2005년 3개 부처 500개 과제에서 2006년 4개 부처 1700개로 늘릴 방침이다. 이밖에 대학과 연구기관에 지식 재산권 창출을 촉진하기 위한 특허정보 관련 정규 교과목을 신설하는 한편 연구개발 단계별 특허정보 활용과 관리전략 수립을 위한 컨설팅을 실시할 예정이다. (서울=연합뉴스 김권용 기자) <저작권자(c)연합뉴스-무단전재ㆍ재배포 금지> <화학저널 2006/02/17> |
한줄의견
관련뉴스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산업정책] 정부, 2차전지 표준으로 글로벌 시장 선점 | 2025-11-13 | ||
| [배터리] 배터리, 정부 ESS 사업 “재격돌” | 2025-09-22 | ||
| [배터리] 폐배터리, 정부 지원 고작 “1억원” | 2025-07-24 | ||
| [제약] LG화학, 저분자 신약 개발 본격화 | 2025-06-30 |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제약] 신약 개발, 연평균 10% 성장 기대 신약 후보물질 개발 “치열” | 2025-09-12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