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금속 토양오염 측정방식 바꿔야…
|
국립환경과학원, 선진국과 편차 커 … 국제기준 맞게 10배 강화해야 국내 토양의 중금속 오염기준은 주요 선진국 등 국제적인 오염 측정방식을 도입하면 최고 10배까지 강화돼야 한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됐다.국립환경과학원이 2월20일 공개한 <토양오염 기준 평가 및 확립에 관한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토양에 대한 전체 중금속 함량측정 결과 국내 중금속 오염기준은 중금속 전체 오염농도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중금속 오염기준은 흙을 약한 산에 넣은 뒤 용출된 중금속 함량을 측정하는 방식으로 정해졌으나 국제기준은 실제 토양에 함유된 전체 중금속 함량을 근거로 결정되고 있어 측정방식을 국제기준에 맞게 바꾸어야 한다고 과학원은 주장했다. 기존 국내방식으로 오염도를 측정하면 중금속 검출량은 국제적 방식(왕수시험방법)을 적용할 때에 비해 비소는 2.6%, 카드뮴 32.7%, 크롬 0.7%, 구리 15.7%, 니켈 2.6%, 납 15.7%, 아연 11.8% 수준밖에 되지 않았다. 과학원은 이에 따라 토양 중금속 전체함량을 근거로 토양 오염기준(1-3지역별 우려기준)을 비소는 6-20㎎/㎏에서 25-200㎎/㎏으로, 카드뮴 1.5-12㎎/㎏에서 4-60㎎/㎏으로, 구리 50-200㎎에서 150-2000㎎/㎏으로 각각 강화하는 안을 제시했다. 수은은 4-16㎎/㎏에서 4-20㎎/㎏, 납 100-400㎎/㎏에서 200-700㎎/㎏, 니켈 40-160㎎/㎏에서 100-500㎎/㎏, 아연 300-800㎎/㎏에서 300-1000㎎/㎏, 6가크롬 4-12 ㎎/㎏에서 5-40㎎/㎏으로 각각 강화하는 방안이 포함됐다. 토양 오염기준은 중금속 8개를 대상으로 정해졌으나 크롬을 추가하고 130-1000㎎/㎏을 새 기준으로 설정하자고 과학원은 제안했다. 과학원은 또한 토양 오염기준을 우려기준과 대책기준으로 나누어 우려기준 1지역ㆍ2지역ㆍ3지역, 대책기준 1지역ㆍ2지역ㆍ3지역으로 각각 세분화하고 대책기준을 우려기준보다 3배 가량 강화했다. (서울=연합뉴스 김성용 기자) <저작권자(c)연합뉴스-무단전재ㆍ재배포 금지> <화학저널 2006/02/21> |
한줄의견
관련뉴스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환경] 석유화학, 토양오염 규제 해제 기대 | 2025-04-21 | ||
| [환경화학] Tosoh, 중금속 처리제 용도 확대 | 2016-01-07 | ||
| [배터리] IBS, 중금속 제거 연료전지기술 개발 | 2014-12-18 | ||
| [안전/사고] 포스코, 페놀 누출로 토양오염 심각 | 2014-06-16 | ||
| [페인트/잉크] 조광페인트, 중금속 흡착 페인트 생산 | 2014-05-28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