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탄, 고유가에 석유 대체재 부상
|
GTLㆍMTO 차세대 기술로 부상 … MTO 플랜트 건설은 중국 주도 유례없는 고유가 및 천연가스 가격강세에 석탄 베이스 화학제품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Nexant에 따르면, CTC(Coal-to-Chemical) 산업은 GTL(Gas-to-Liquid) 부문과 MTO(Methanol-to-Olefin) 부문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일부 화학기업만이 진출하고 있어 성장 가능성이 큰 것으로 알려졌다. 석탄가스나 천연가스를 휘발유로 전환하는 GTL 부문은 남아프리카 Sasol이 주도하고 있는데 6년전부터 라이센스(License) 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며 세계 최대인 남아프리카 Secunda 소재 석탄가스 베이스 GTL 플랜트(일산 15만배럴)를 운영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그러나 석탄 베이스 메탄올(Methanol)을 원료로 삼는 MTO 프로세스를 상용화한 화학기업은 아직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중국 Shenhua Group이 2010년 완공을 목표로 내몽골 CTO(Coal-To-Olefins)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어 MTO 부문을 개척하고 있다. CTO 프로젝트는 석탄 베이스 메탄올 180만톤 플랜트와 MTO 60만톤 플랜트, 100MW 화력발전소가 포함되며 생산능력은 PE(Polyethylene) 30만톤, PP(Polypropylene) 31만톤, 부탄(Butane) 9만4000톤, 황(Sulfur) 1만9000톤, 에탄(Ethane)/프로판(Propane) 1만4000톤, Heavy Alkanes 3만7000톤에 달할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미국 등 선진국에서도 CTC로의 이행을 적극 검토하고 있는데 Eastman은 이미 석탄 베이스 Acetyl을 생산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비료 메이저 Agrium은 2005년 11월 알래스카 Kenai 소재 질소비료 플랜트의 원료로 천연가스 대신 석탄을 사용하겠다고 발표한 이후 타당성 검토에 들어간 것으로 알려졌다. 표, 그래프: | 중국의 VCM 코스트 비교 | <화학저널 2006/03/20> |
||||||||||||||||
한줄의견
관련뉴스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바이오연료] 화학공장, 석탄 보일러 탈피 가속화 | 2024-12-13 | ||
| [석유화학] 메탄올, 석탄 타고 당분간 강세 | 2024-06-14 |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바이오연료] 암모니아·수소 혼소, 일본, 석탄화력 혼소 실증 2030년대 50% 상용화… | 2024-08-23 | ||
| [석탄화학] 인디아, 석탄화학 프로젝트 본격화 | 2024-07-31 | ||
| [정밀화학] 중국, 석탄화학 투자 계속 이어간다! | 2024-06-21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