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92년 9월초 정부는 석유화학산업에 정책적인 개입을 시도했으나, 무산되었다. 이는 정부의 적극 개입을 희망하는 대한유화·유공·대림산업·호남석유화학·한양화학 등의 선발업체와 현재의 자유경쟁체제를 고수하려는 후발업체간의 의견대립이 심각했기 때문이다. HDPE는 삼성·현대의 본격가동에 따라 공급능력이 105만톤으로 증가, 공급과잉이 심화되고 있는데도 불구, 유공(4만톤)·럭키석유화학 등의 증설계획이 잇달아 현재의 공급과잉 상태가 쉽게 해결될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수출도 유럽·일본·미국 뿐만 아니라 국내업체들간의 과당경쟁으로 극심한 혼란을 겪고 있다. 표, 그래프 : | HDPE 생산·판매 추이 | HDPE 공급·수요 현황 | HDPE 업체별 생산·판매실적 | HDPE 가격추이(1991년) | HDPE 용도별 국내 판매실적 | HDPE 업체별 판매단가 추이(1991년) | 한국·일본·대만의 HDPE 수급비교 | 중국의 HDPE 수급 전망 | HDPE 생산·판매현황(1991년) | <화학저널 1992/11/1> |
한줄의견
관련뉴스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석유화학] HDPE, 유가 하락에 재고까지 쏟아진다! | 2025-11-10 | ||
| [석유화학] HDPE, 오르는 건 유가뿐… | 2025-11-03 | ||
| [석유화학] HDPE, 신규 주문 피하며 재고 늘어난다! | 2025-10-20 | ||
| [석유화학] HDPE, 루피화 약세·재고 부담에… | 2025-09-29 | ||
| [석유화학] HDPE, 약세 속 대규모 정기보수… | 2025-09-22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