셀레늄, 농축산물 인위적 사용금지
식약청, 다량 섭취시 유해 … 농산물에 다량 함유돼 결핍우려는 없어 쌀 등 농축산물을 재배ㆍ생산하면서 일부 농가에서 몸에 좋을 것이라고 생각해 셀레늄 등 독성이 있는 위해우려 화학물질을 무분별하게 사용하고 있어 식품당국이 제동을 걸고 나섰다.식품의약품안전청은 웰빙을 추구하는 식생활 변화추세에 맞추어 일부 농업인들이 기능성 식용 농축산물을 재배ㆍ사육하는 과정에서 셀레늄과 게르마늄 등 다량 섭취하면 오히려 인체에 해로울 수 있는 화학물질을 인위적으로 첨가하고 있다며 자제해 줄 것을 당부하는 협조공문을 농림부에 보냈다고 발표했다. 실제로 최근까지도 유명백화점과 대형 할인점 등에서는 셀레늄을 함유한 쌀이 판매됐고, 셀레늄을 섞은 사료로 키운 젖소에서 생산된 우유와 닭고기, 돼지고기, 계란, 밀가루 등도 시중에 선보였다. 셀레늄은 무기질 영양소로 결핍되면 간장애, 근무력증 등을 일으킬 수 있다. 식약청 위해관리팀 관계자는 “셀라늄은 독성이 있는 원소로 국내에서는 농산물과 임산물, 축산물, 수산물 등에 다량 함유돼 현재 한국인의 식생활에서 셀레늄 결핍으로 인한 문제는 없다”며 “셀레늄을 과다 섭취하게 되면 심혈관계 이상이나 손톱ㆍ피부질환, 탈모, 보행장애, 마비, 구토, 설사 등의 독성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한편, 식약청은 현재 셀레늄을 식품첨가물로 허용하고 있지 않다. (서울=연합뉴스 서한기 기자) <저작권자(c)연합뉴스-무단전재ㆍ재배포 금지> <화학저널 2006/03/28> |
한줄의견
관련뉴스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식품소재] 셀레늄, 정확한 측정 가능해졌다! | 2011-07-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