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학산업 취업비중 2.1% 불과
|
상의, 2000년 1.9%에서 2003년 2.1%로 … 제조업 고용 감소 국내 제조업의 고용비중이 급속히 하락하고 있다.대한상의가 5월1일 발표한 <제조업의 일자리 창출역량 제고방안>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제조업 고용비율은 1989년 27.8%로 정점에 오른 후 연평균 0.58%p 하락해 OECD(경제협력개발기구) 15개국 가운데 영국에 이어 2번째로 빠른 하락세를 기록했다. OECD 주요 국가의 제조업 고용비율 연평균 하락 폭은 0.2%-0.4%p이며, 0.5%p를 상회하는 국가는 영국(0.61%p), 한국, 이태리(0.53%p), 통일이후 독일(0.52%p) 등에 불과했다. 경제성장에 따라 일자리가 늘어나는 속도를 의미하는 고용흡수력 또는 서비스업에 비해 제조업이 지속적으로 약화되고 있다. 국내 고용흡수력의 연평균 변화율은 1980년대 -4.8%, 1990년대 -9.3%로, 영국(1980년대 -4.5%에 1990년대 -3.5%), 미국(1980년대 -3.1%에 1990년대 -4.0%), 프랑스(1980년대 -3.1%에 1990년대 -3.6%), 일본(1980년대 -3.6%에 1990년대 -2.9%) 등에 비해 하락 폭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제조업 취업자 비율은 연평균 인원 기준으로 1995년 23.7%에서 2000년 19.2%, 2003년 18.6%로 하락했으며 업종별로는 섬유, 화학, 자동차의 취업자 비율 감소가 두드러졌다.
대한상의는 부품소재 및 중소기업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 연구개발과 현장혁신을 통합하는 총체적 경영혁신 지원정책의 지속 추진, 우수인재의 주력업종 유입 확대 및 필요한 인재 적기공급, 주력업종의 신시장 개척을 위한 적극적 무역정책 추진 등 <일자리 창출 4대 방안>을 제시했다. 표, 그래프: | 산업별 취업자 비중 비교 | <화학저널 2007/05/2> |
||||||||||||||||
한줄의견
관련뉴스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엔지니어링] 화학산업, 자동화로 현장 혁신하라! | 2025-10-17 | ||
| [정밀화학] 바스프, 지속가능한 화학산업 선도 | 2025-10-02 | ||
| [금속화학/실리콘] 화학산업, 안티몬 공급불안 “긴장” | 2025-10-02 |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화학경영] 유럽 화학산업 ③, 스페셜티 중심 전환으로 글로벌 리더십 회복한다! | 2025-10-17 | ||
| [산업정책] 유럽 화학산업 ② , 전열화·CCS·탄소중립으로 지속가능 화학산업 구축한다! | 2025-10-02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