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 유해정보 유출 “꼼짝마”
|
원격관리 및 동영상 기반 차단기술 개발 … 중소기업ㆍ개인 관심 목록기반의 단순 유해사이트 차단에서 동영상이나 이미지를 비교해 유해정보를 차단하는 특허 출원이 증가하고 있다.특허청에 따르면, 최근 6년간(2001-06년) 유해정보 차단과 관련된 특허 및 실용신안의 출원은 총 161건으로, 특히 동영상 기반의 유해정보차단 기술관련 출원은 총 15건으로 전체의 9%를 차지하는데 불과하나 2004년 이후 14건이 집중적으로 출원됐다. 유해정보 차단기술은 유해사이트 목록과 비교해 차단하는 목록기반, 동영상이나 이미지의 피부색 및 메타데이터를 비교해 유해정보를 차단하는 동영상기반, 휴대폰 등을 이용해 원격에서 컴퓨터를 감시 및 제어하는 원격관리기반, 사용자에 따라 유해정보를 차단하는 사용자인증기반, 모니터나 전원을 직접 차단하는 하드웨어기반 기술로 구분되고 있다.
출원주체별로는 중소기업 38%, 개인 34%, 대기업 16%, 공공기간 11%, 외국인 1% 순으로 중소기업 및 개인 출원이 많으나, 최근에는 대기업과 공공기관의 출원이 증가하고 있다. 표, 그래프: | 유해정보 차단 관련특허 출원동향 | <화학저널 2007/05/4> |
||||||||||||||||
한줄의견
관련뉴스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엔지니어링] 사물인터넷, 공장 유지보수 최적화 | 2023-05-19 | ||
| [엔지니어링] 사물인터넷, 화학공장 가동 안정화 | 2021-04-09 | ||
| [건축소재] 금호석유화학, 인터넷 마케팅 선도 | 2020-12-10 | ||
| [배터리] 축전지, 사물인터넷 시대 견인한다! | 2020-03-10 | ||
| [폴리머] SAP, 인공지능에 사물인터넷까지… | 2019-03-19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