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드레이트 채굴기술을 선점하라!
|
특허청, 일본 탐사ㆍ채굴 기술특허 출원 증가세 … 국내 출원은 적어 6월19일 울릉도 남방 약 100km 지점에서 자연상태의 천연가스 하이드레이트(Natural Gas Hyderate)가 세계 5번째로 채취되면서 하이드레이트관련 기술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환경친화형 차세대 대체 에너지로 주목받고 있는 천연가스 하이드레이트는 일반적인 수화물에서와는 달리 물(얼음)이 주체이고 가스가 객체로써 서로 물리적으로 결합돼 결정을 이루는 화합물로 물 분자의 격자 공간에 메탄 등의 천연가스 성분 분자가 갇혀있는 형태이다. 현재 천연가스 하이드레이트 관련기술은 초기 개발단계로 보통은 고체형태로 채굴되기 때문에 가스형태로 채굴되는 가스전의 천연가스에 비해 상업화 비용이 비싼 단점이 있다. 특허청에 따르면, 천연가스 하이드레이트에 관한 출원은 2000년 이전에는 미국 및 유럽에서 강세를 보였으나 2000년 이후는 일본이 대체에너지 개발에 박차를 가하면서 급격한 출원 증가세를 나타내고 있다. 미국과 유럽은 주로 천연가스의 운송ㆍ보관기술과 운송ㆍ보관 과정에서 가스 하이드레이트 형성을 억제하는 기술이 뛰어나고 일본은 상대적으로 하이드레이트 고정화하는 기술과 탐사ㆍ채굴하는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국내에서는 최근 KAIST 이흔 교수팀에 의해 이산화탄소와 질소의 혼합가스를 해저 천연가스 하이드레이트에 공급해 천연가스와 직접 맞교환하는 기술이 특허등록돼 천연가스 성분을 해저층을 붕괴하지 않고 직접회수하면서 대기의 온실가스를 저장하는 공정을 동시에 수행하는 기술로써 경제성 및 환경성에서 크게 주목받고 있다. 천연가스 하이드레이트는 주로 동토지역 및 심해저(1000-2000m)에 세계적으로 약 10조톤이 매장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으며 한반도 인근 동해지역에 약 6억톤이 매장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특허청 관계자는 “선진국에게 선점당한 원천기술보다는 경제성 있는 채굴 위주의 연구개발을 강화하면 차세대 에너지원인 <불타는 얼음>을 선점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김 은 기자> 표, 그래프: | 세계 Gas Hydrate 관련 기술특허 출원비교 | <화학저널 2007/07/27> |
||||||||||||||||
한줄의견
관련뉴스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기술/특허] 수소, 하이드레이트 저장 가능하다! | 2018-12-27 | ||
| [천연가스] 일본, 메탄 하이드레이트 조사 확대 | 2015-01-06 | ||
| [기술/특허] 가스 하이드레이트 청정기술 개발 | 2013-09-02 | ||
| [기술/특허] 가스 하이드레이트 억제기술 개발 | 2013-08-14 |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에너지정책] 셰일가스 이어 메탄 하이드레이트도 | 2014-03-07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