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유제품 수출ㆍ수입 모두 감소
|
산자부, 8월 원자재 증가세 둔화 … 자본재ㆍ소비재는 증가 8월 원유 및 석유제품 수입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산업자원부가 발표한 <2007년 8월 수출입동향>에 따르면, 8월 수입은 전년동월대비 9.8% 증가한 296억9000달러로 원자재 증가세가 둔화된 가운데 자본재와 소비재 증심으로 수입이 증가했다. 원자재는 철강금속제품 등의 수입이 증가했으나 원유수입 감소로 9.5% 증가했다. 원유 수입은 석유제품 수출감소 등에 따른 도입물량 축소로 11.9% 감소한 48억9000만달러, 석유제품은 7.6% 감소한 9억8900만달러를 기록한 반면, LNG는 52.9% 증가한 11억1000만달러를 나타냈다. 또 미정제 니켈괴(119.0%), 아연광(28.9%) 등 비철금속제품(12.1%)과 철근(37.4%), 철강판(8.2%) 등 철강제품(18.2%)의 수입이 지속적으로 증가했으며 금(81.5%), 유연탄(51.3%), 펄프(36.1%), 판유리(30.8%), 의약품(28.3%) 등의 수입도 증가했다.
소비재도 완만한 소비심리 회복 등으로 승용차(42.2%), 농산물(29.6%), 의류(19.4%), 생활용품(18.6%) 등의 수입이 지속적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일본 수입은 자동차(65.3%), 광학기기(74.0%), 비철금속제품(68.9%) 등의 수입이 증가하고, 산업기계(24.7%), 가정용전자제품(26.8%) 등이 감소했으며 미국 수입은 철강제품(126.0%), 항공기부품(29.5%), 농산물(27.3%) 등의 수입이 증가하고, 반도체(16.8%), 반도체제조용장비(1.6%) 등이 감소했다. 또 중국 수입은 농산물(121.6%), 반도체(28.9%), 컴퓨터(23.6%), 섬유제품(21.9%), 가정용전자제품(15.2%), 철강제품(10.6%) 등을 중심으로 증가세를 보였으며 EU 수입은 철강제품(79.2%), 자동차(38.8%), 산업기계(24.8%), 석유화학제품(32.4%) 등을 중심으로 증가했다. ASEAN 수입은 비철금속제품(67.2%), 반도체(21.7%), 농산물(11.2%) 등의 수입이 증가하고, 컴퓨터(25.2%), 광물성원료(11.9%) 등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김 은 기자> 표, 그래프: | 주요 원자재 수입변화 | <화학저널 2007/09/04> |
||||||||||||||||
한줄의견
관련뉴스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에너지정책] 정유4사, 석유제품 가격 인상 자제하라! | 2025-11-14 | ||
| [석유정제] 정유4사, 석유제품 수출 확대 기대 | 2024-12-18 | ||
| [석유정제] 석유제품, 수출 호황에도 힘 잃어… | 2024-12-06 | ||
| [석유정제] 석유제품, 생산‧수출침체 해소하라! | 2024-12-05 | ||
| [석유정제] 정유4사, 석유제품 수출량 “최대” | 2024-10-25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