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유제품 가격 2-3주 더 오른다!
|
재경부, 국제시장 휘발유 가격에 더 민감 … 비상조치 계획 없어 두바이(Dubai)유 가격이 사상 최고치를 기록하는 등 국제유가 상승세 영향으로 국내 석유제품 가격도 앞으로 2-3주 정도 더 오를 것으로 전망됐다.그러나 국내 석유제품 가격 상승세는 아직 정부의 예상범위에 있어 국제유가 급등에 대비한 정부 차원의 비상조치 등은 검토하지 않고 있다. 재정경제부 고위관계자는 9월13일 국내 유가는 국제시장의 원유가격보다 국제시장 휘발유 가격에 더 민감하게 반응한다면서 8월 네째주에 단기 저점을 국제시장 휘발유 가격이 9월 둘째주부터 급등세를 보이고 있기 때문에 영향이 이번주 후반부터 본격적으로 국내시장에 미칠 것이라고 전망했다. 재경부 관계자는 “국제시장 휘발유 가격이 국내시장 가격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2-3주 정도 기간이 지난 후”라면서 “따라서 앞으로 2-3주간 국내 휘발유 가격은 강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했다. 8월 마지막주 국제 휘발유 가격은 배럴당 77.90달러였으나 9월 첫째주에는 배럴당 79.18달러로 급등했다. 그러나 국제 원유가격이 2007년 연평균 국제유가를 62달러 선으로 전망했던 당초 예상범위에서 크게 벗어나지는 않고 있어 강제할당량 조정이나 관련세금 조정 등의 조치는 상정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재경부 관계자는 “2007년 초 국제유가가 50달러대 후반이었고 하반기에 70달러대로 올라간다고 가정하면 연평균은 정부의 예상보다 1-2달러 정도 오르는 수준일 것”이라면서 “국제유가 추이를 면밀히 모니터링하겠지만 아직 비상대책을 강구할 단계는 아니다”라고 전망했다. 정부는 2005년 이후 국제유가의 급등에 대해서는 개입을 하지 않는다는 원칙을 세워두고 있으며 이에 따라 국제유가가 배럴당 30달러 대에서 70달러 대까지 치솟을 동안 별다른 대책을 마련하지 않았다. 하지만, 정부는 국내 분쟁 등으로 원유 수급 자체가 어려워지면서 가격이 급등하면 석유수급조정명령과 최고가격제, 비축유 및 유가완충자금 활용 등의 방식으로 대처할 계획이다. 재경부는 서브프라임 모기지 파문이 어느정도 가라앉으면서 세계경제 회복 가능성이 높아지고 석유수출국기구(OPEC)의 증산결정 물량이 50만배럴로 시장의 기대에 미치지 못했다는 점 때문에 국제유가가 상승세를 타고 있지만 사우디가 증산을 계속 주장하고 있는데다 OPEC의 증산 결정도 시간이 지나면 국제유가가 하락하는 쪽으로 영향을 미쳐 국제유가가 급등세를 지속하지는 않을 것으로 전망했다. <저작권자 연합뉴스 - 무단전재ㆍ재배포 금지> <화학저널 2007/09/13> |
한줄의견
관련뉴스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에너지정책] 정유4사, 석유제품 가격 인상 자제하라! | 2025-11-14 | ||
| [석유화학] LLDPE, 연말 재고 정리에 가격 ‘흔들’… | 2025-11-10 | ||
| [화학경영] 유니드, 중국 염소 가격 하락 “타격” | 2025-10-28 | ||
| [석유화학] PS, 인디아 가격만 떨어졌다! | 2025-10-14 |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폴리머] MMA, 아시아 거래가격 변동 극심하다! | 2025-11-14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