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프타 가격이 폭락하면 동아시아 석유화학기업들의 경쟁력이 되살아날 수 있을 것인가? 최근 들어 나프타 가격이 예상을 뛰어넘는 수준으로 폭락을 거듭하면서 아시아와 중동의 석유화학 경쟁력이 초미의 관심으로 떠오르고 있다. 나프타 가격은 일반적으로 국제유가의 10배 수준에서 움직여 국제유가가 배럴당 50달러를 형성하면 나프타 가격은 C&F Japan 톤당 500달러 수준, 국제유가가 100달러일 때는 1000달러, 130달러를 넘어섰을 때는 1300달러 근처까지 상승한 바 있다. 그러나 최근에는 국제유가와의 연계성이 상당수준 무너져 국제유가가 배럴당 60달러 수준을 유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나프타 가격은 톤당 400달러가 무너지는 이변을 연출했다. 일반적으로는 600달러 안팎을 형성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훨씬 큰 폭으로 하락했기 때문이다. 세계적으로 석유화학제품 가격이 폭락에 폭락을 거듭함에 따라 너나 할 것 없이 에틸렌 크래커를 비롯해 유도제품 가동률을 대폭 낮추거나 가동을 중단하는 사태가 빈번히 일어나 나프타 수요가 크게 줄어들고 있기 때문으로 당분간은 약세를 이어갈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물론, 300달러대 수준으로 폭락함으로써 더 이상 떨어질 여지가 없어져 앞으로는 하락폭이 줄어들 것으로 보이지만 에틸렌 크래커의 가동률이 회복되지 않는 한 상승세로 전환되기는 어려운 상태이다. 따라서 나프타 가격이 톤당 200달러대 중반에서 300달러대 중반 사이를 형성한다고 가정할 때 중동의 에탄 크래커와 비교해 가격경쟁력을 보유할 수 있을 것인지 주목하지 않을 수 없다. 중동은 석유화학 원료로 사용하는 에탄 가격을 정확히 산정할 수는 없지만 일반적으로 톤당 200-250달러 수준으로 평가되고 있다. 즉, 나프타 가격이 150달러 정도 더 떨어져 200달러대 초중반으로 하락하면 코스트 경쟁력이 회복되는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나프타 가격 폭락이 가져오는 또 다른 변수는 나프타 크래커의 가격경쟁력 회복과 함께 에탄 크래커의 경쟁력 약화를 불러일으켜 중동 국가들이 추진하고 있는 신증설 경쟁을 자제할 가능성도 나타나고 있다. 당장 신증설 작업에 상당한 차질이 빚어지고 있는 이란을 중심으로 건설작업에 착수하지 않은 프로젝트는 취소할 가능성이 있으며, 건설하고 있는 프로젝트도 수익성이 없다고 판단되면 건설을 중단할 수 있기 때문이다. 다만, 중동의 신증설 프로젝트가 본격화된 지 상당한 시간이 흘렀고 2009-11년이면 건설을 마무리할 예정이어서 큰 변화를 기대하기는 어려운 상황이다. 결국, 미국의 서브프라임 모기지 부실대출 파문이 금융위기로 확대되고 곧이어 실물경제의 침체로 이어지면서 세계경제가 곤두박질침으로써 국제유가 및 석유화학 가격 폭락이 일어나고 연이어 나프타 폭락으로 발전하면서 글로벌 석유화학 시장이 예측불허 단계로 이행되고 있다. 문제는 나프타 가격폭락에서 나타났듯이 예상을 훨씬 벗어난 사태로 발전할 가능성이 항상 존재하고 있다는 것으로, 대응을 잘못하면 큰 낭패를 경험할 가능성이 있어 주의가 요구되고 있다. 사안을 다르나 원화환율이 예상을 훨씬 뛰어넘는 수준으로 폭락해 중소기업들이 엄청난 손실을 입고 일부는 흑자부도 위기로 내몰리고 있는 것이 잘 증명해주고 있다. 나프타 가격이 어느 선에서 안정될 것인지, 에틸렌을 비롯한 석유화학제품 가격은 언제까지 폭락현상을 지속할 것인지, 중동은 에탄 크래커의 경쟁력 약화에 어떻게 반응할 것인지, 미국 및 유럽의 금융위기에 이은 경기침체는 어떠한 방향으로 흐를 것인지, 중국은 올림픽 과잉투자의 후유증에서 벗어나 연착륙할 수 있을 것인지 등등 변수가 하나둘이 아니기 때문이다. 나프타 가격 폭락현상이 석유화학 불황을 반영한다고 볼 때 즐거워할 수만은 없으나 원료코스트 하락을 부정적으로만 평가할 수 없다는 측면에서 발상의 전환이 필요하지 않나 생각된다. 원료코스트 폭락과 함께 고정코스트를 줄일 수 있으면 백전백승 가능성이 있다. <화학저널 2008/11/3·10>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석유화학] 나프타, 미중 갈등이 경기침체로… | 2025-05-08 | ||
[석유화학] 나프타, 국제유가 오르자 반등했다! | 2025-04-23 | ||
[석유화학] 에틸렌, 나프타 폭락세에 떨어진다! | 2025-04-16 | ||
[석유화학] 나프타, 에틸렌‧PE 부진에 하락세 | 2025-04-16 | ||
[석유화학] 나프타, 국제유가와 함께 동반 폭락 | 2025-04-09 |
수탁사 | 수탁 업무 및 목적 | 보유 및 이용기간 |
---|---|---|
미래 이포스트 | 상품 배송 | 서비스 목적 달성시 또는 관계법령에 따른 보존기한까지 |
LG U+ | 구독 신청에 필요한 신용카드, 현금결제 등의 결제 대행 | |
홈페이지코리아 | 전산시스템 운영 및 유지보수 |
수집하는 개인정보 항목 |
성명, 회사명, 부서, 직위, 전화번호, 핸드폰번호, 팩스, 이메일, 홈페이지주소 자동수집항목 : 서비스 이용기록, 접속 로그, 쿠키, 접속 IP 정보 |
---|---|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 |
켐로커스는 수집한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활용합니다. (1) 성명, 회사명 - 회원제 서비스 이용에 따른 회원식별, 불량 회원의 부정 이용 방지를 위함 (2) 부서명/직위 : 회원의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 및 마케팅에 활용 (3) 이메일, 홈페이지 주소, 팩스, 전화번호, 휴대폰번호 - 서비스 이용 후 계약이행에 대한 내용 제공, 결제 진행사항 통보, 영수증 및 청구서 송부, 불만처리 등을 위함 |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기간 |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이 달성된 후 지체없이 파기 |